등록 : 2020.01.15 17:07
수정 : 2020.01.15 17:15
|
허태정 대전시장과 김종천 대전시 의장, 한재득 혁신도시범시민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이 15일 문희상 국회의장에게 대전시민 81만4604명이 참여한 서명부를 전달한 뒤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
문재인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서 “공감” 언급 고무
허태정 대전시장 문희상 국회의장에 서명부 전달
충남도 지난해 100만명 서명 청와대와 국회 전해
|
허태정 대전시장과 김종천 대전시 의장, 한재득 혁신도시범시민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이 15일 문희상 국회의장에게 대전시민 81만4604명이 참여한 서명부를 전달한 뒤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대전시와 충남도의 ‘혁신도시 추가 지정’ 요구에 공감한다”고 밝힌 뒤 대전·충남의 ‘혁신도시 추가 지정’ 요구가 힘을 얻고 있다.
대전시는 15일 국회에 ‘혁신도시 지정촉구 대전시민 서명부’를 전달했다. 허태정 대전시장과 김종천 대전시 의장, 한재득 혁신도시범시민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이날 오후 국회를 방문해 문희상 국회의장에게 대전시민 81만4604명의 서명이 담긴 서명부를 전했다. 허 시장은 “대전은 국토의 중심에 있다. 대전이 국가 균형발전의 밑거름이 되려면 혁신도시로 지정돼야 한다”며 “문희상 국회의장께서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안이 조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
국회에 전달한 서명부는 지난해 8월29일 출범한 혁신도시범시민추진위원회가 5개 자치구, 시민단체 등과 함께 12월까지 추진한 서명운동에 시민이 참여한 것이다. 혁신도시범시민추진위는 역·터미널·각종 행사장 등에서 서명운동을 전개했으며, 4개월여 만에 대전시민 149만여명의 절반 이상이 참여했다.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은 성명을 내어 “대통령이 지역의 열망에 공감의 뜻을 밝힘에 따라 대전의 혁신도시 지정 움직임에 한층 탄력이 붙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전·충남·세종 시민사회단체로 꾸려진 균형발전과 지방분권, 상생발전을 위한 충청권공동대책위원회는 “수도권이 전체 인구의 50%를 초과했다. 이를 극복하고 국가 균형발전을 꾀하려면 수도권 일극 체계를 타파하고 지방분권을 조속히 실현하는 범정부 차원의 비상대책이 필요하다”며 “대전·충남의 혁신도시 지정을 위한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안은 지난해 12월2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법안 소위를 통과해 여야 간 이견이 없다는 점이 확인됐다. 정치권은 이 개정안을 2월 국회에서 반드시 처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앞서 충남도는 지난해 11월7일과 18일 청와대와 국회에 ‘충남 혁신도시 지정촉구 100만인 서명부’를 전달하고 지원을 요청했다. 당시 서명에 참여한 도민은 220만명 가운데 101만961명에 달했다. 양승조 지사는 강기정 청와대 정무수석 등을 만나 “충남은 행정도시 건설에 가장 크게 기여했으나 혁신도시에서 제외되는 등 소외당하고 있다. 충남의 특수성과 지역민의 상실감 등을 고려해 달라”고 밝혔다.
한편 문 대통령은 14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대전과 충남이 혁신도시에서 제외된 배경을 설명한 뒤 “혁신도시는 국가균형발전의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며 “충남과 대전에서는 추가로 혁신도시를 지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요구를 오래전부터 해왔고, 그를 위한 법안도 국회에 계류돼있다. 그 법안이 통과되면 그에 따라서 최대한 지역에 도움되는 방향을 찾아 나가려 한다”고 밝혔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