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3.12.07 18:10
수정 : 2013.12.08 22:25
|
7일 오후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열린 국가정보원의 대선개입을 규탄하는 23차 범국민 촛불집회에서 참석자들이 ‘박근혜 대통령 사퇴’를 촉구하는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
시민사회단체 ‘비상시국’ 선언
“박근혜 정권 심판” 목청 높여
지난 주말 시민·사회·노동단체들이 현 상황을 ‘비상시국’으로 규정하고 박근혜 정권을 심판하자며 서울 시내에서 거리행진을 벌였다. 경찰은 물대포로 진압에 나섰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한국진보연대·전국농민회총연맹·용산참사진상규명위원회 등 25개 시민·사회·노동단체는 7일 서울역광장에서 ‘박근혜 정권 규탄 비상시국대회’를 열어 “박근혜 정권이 들어선 지 1년도 안 돼 유신이 돌아왔다. 재벌들의 무법천지, 분단과 냉전이 돌아왔다. 그야말로 비상시국”이라고 선언했다.
이날 대회에 참석한 시민 2만여명(주최 쪽 추산·경찰 추산 1만여명)은 결의문을 통해 “새로운 희망 대신 민주주의가 파괴되고 약속된 민생 공약이 파기되며 이 땅의 평화가 위협받는 현실을 목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국가정보원의 대선개입 파문과 관련해 “이 정권이 전방위적 관권·부정선거를 은폐하기 위해 무슨 짓을 하고 있는지 우리는 보고 있다. 음지에서 일한다는 국정원이 정치 전면에 등장했다”고 비판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 전 내세웠던 복지 공약 등이 잇따라 후퇴한 데 대해서도 비판이 이어졌다. 이들은 “대선 공약인 경제민주화는 1년도 안 돼 친재벌 구호로 대체되고, 기초연금, 4대 중증질환 국가 책임, 쌍용차 국정조사, 반값 등록금 등은 무기한 연기되거나 후퇴됐다. 민주와 민생, 평화가 위기를 맞은 지금 박근혜 정권을 심판해야 한다”고 밝혔다.
참가자들은 집회가 끝나고 남대문을 거쳐 을지로입구역까지 행진했다. 일부 시위 참가자가 종로3가 부근에서 도로를 점거하자 경찰은 오후 5시50분께 물대포를 쏘기도 했다. 이들은 이후 청계광장으로 이동해 오후 6시30분께 해산한 뒤 ‘국가기관 대선개입·박근혜 정권 수사방해 규탄 23차 범국민 촛불집회’에 합류했다. 이날 촛불집회에는 주최 쪽 추산 4000여명(경찰 추산 1800여명)이 참가해 국가기관 대선개입 사건에 대한 특검 수용, 박 대통령의 책임 있는 사과 및 책임자 처벌 등을 촉구했다.
송호균 박승헌 박수지 기자
uknow@hani.co.kr
▶ 비상시국대회 현장 화보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