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3년 전께 일이다. ㄱ검사와 법조 출입 기자 몇몇이 함께 만나는 자리에서 우리 사회의 표현의 자유 위축 문제에 대해 얘기를 나눴다. ㄱ검사는 확신에 찬 목소리로 말했다. “대한민국에 자유는 차고 넘친다”고 단언했다. 반론들이 거셌지만, 이 검사는 되레 ‘공부 좀 하라’는 식으로 반격했다. 그러면서 권해 준 책이 자유민주주의를 인류 이데올로기 진화의 종점으로 선언한 프랜시스 후쿠야마의 책 <역사의 종말>이었다.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우리가 대화를 나눴던 당시는 박근혜 정부가 작성·실행한 이른바 ‘블랙리스트’로 인해 사회 전반적으로 표현의 자유가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었던 시기였다.
2013년 ‘국정원 대선 개입 사건’ 수사를 방해한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는 현직 검사 3인방으로 인해 검찰 내부는 패닉에 빠졌다. 서울지역 한 부장검사는 이 중 한 명을 가리켜 “문제가 될 거 같은 기미만 보여도 만원짜리 밥도 안 먹고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던 사람인데, 그런 일을 했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 고 말했다. 다른 검사들도 “언론에 보도되는 내용들이 정말 사실이냐”, “(해당 검사들이)국정원에 이용을 당한 것 같다”, “누구든 그 자리에 있었다면 똑같은 일을 하지 않았겠느냐”는 반응을 보였다. ‘나’와 같은 일을하는 검사를 이해하는 ‘동정론’, 나아가 검사의 일탈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일종의 ‘검사 무오류’론의 연장선에 나온 발언들이다.
사실 많은 검사들이 거짓말하는 걸 가장 싫어한다고 입버릇처럼 말한다. 온갖 진실과 거짓말이 혼재하는 신문 과정에서 오롯이 진실만을 찾아내야 하는 일을 하다 보니 그런 생각을 하게 됐을 것이다.
2013년 검찰의 '국가정보원 댓글 수사'를 방해하는데 관여한 의혹을 받고 있는 장호중 부산지검장이 지난달 29일 오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에 조사를 받기 위해 들어서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