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

- WHO, 지카 바이러스 국제비상사태 선포
- 세계보건기구(WHO)가 1일(현지시각) 신생아 소두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지카 바이러스의 확산에 대해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했다. 브라질은 임신부들은 오늘 8월 ...
- 2016-02-02 10:34
-

- 이집트숲모기가 전파…증상은 최대 2주안에 나타난대요
- 지카바이러스가 남미 대륙을 넘어 현재 25곳의 나라로 폭발적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소두증 사례가 나타나고 있는 브라질 외에도 콜롬비아에선 전체 감염자 2만297명 가운데 임신부가 10%...
- 2016-01-31 19:25
-

- 지카바이러스, 폭발적 확산…지구촌 ‘공포’
- 세계보건기구(WHO)의 마거릿 챈 사무총장이 28일(현지시각) 스위스 제네바의 본부에서 열린 운영위원회에서 “지난해 지카 바이러스가 미주 대륙에서 발견된 이래 폭발적으로 퍼지고 있다”며 ...
- 2016-01-29 20:52
-

- 브라질서만 소두증 4000명…임신부들, 치료약 없어 공포
- 지카(Zika) 바이러스 감염이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특히 임신부들의 두려움을 키우고 있다. 지카 바이러스가 신생아 소두증의 원인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지카 바이러스 백신이나 치료...
- 2016-01-29 19:31
-

- ‘지카바이러스가 소두증 유발’ 아직은 추정
- 남미 임신부들을 공포에 빠뜨리고 있는 소두증이 지카 바이러스 때문인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하지만 정황상 그 원인일 확률이 높다.
지카 바이러스는 1947년 아프리카 우간다 지카 숲...
- 2016-01-29 19:29
-
- [사설] 경각심 높여야 할 ‘지카 바이러스’의 지구촌 습격
- ‘지카 바이러스’ 공포가 지구촌을 덮치고 있다. 중남미를 중심으로 23개 나라에서 발병 사례가 나타났고, 특히 브라질에서는 지카 바이러스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소두증 의심 사례가 평년의 150여명에서 4000여명으로 급증했다. ...
- 2016-01-29 18:37
-
- 질병관리본부, ‘지카 바이러스’ 법정 전염병 지정
- 전 세계적으로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는 ‘지카(Zika)’ 바이러스가 국내서도 ‘법정전염병’으로 지정됐다.
질병관리본부는 29일 “지카 바이러스에 대한 신속하고 체계적인 방역체계 구축을 위해 ‘제4군 감염병’으로 지정했다”고 밝혔...
- 2016-01-29 18:03
-
- 보건복지부, ‘소두증 바이러스’ 법정감염병 지정
- 이른바 ‘소두증 바이러스’로 불리는 지카(Zika)바이러스의 세계적 확산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보건당국이 법정감염병으로 지정하고 대응 수위를 높였다.
29일 보건복지부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선제...
- 2016-01-29 17:17
-
- 프랑스·캐나다서도 지카바이러스 감염…전세계 공포 확산
- 프랑스와 캐나다에서도 신생아 소두증(小頭症)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지카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나와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28일(현지시간) AFP 통신 등에 따르면 프랑스 보건부는 올해 초 해외여행을 마치고 귀국한 프랑스인 ...
- 2016-01-29 09:50
-
- ‘소두증’ 유발 바이러스 확산…“법정 감염병 지정 추진”
- 브라질 등 중남미 국가를 중심으로 발생하던 ‘지카(Zika) 바이러스’가 세계 곳곳으로 확산하자 보건당국이 법정 감염병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임신부가 감염되면 신생아의 머리가 선천적으로 작은 ‘소두증(小頭症)’이 발생할 수 있...
- 2016-01-26 11:48
-
- 소두증 바이러스 아시아에도 ‘불똥’…아시아 8개국에 ‘경고등’
- 대만에 입국한 태국인이 지카(Zika) 바이러스감염자로 확인되면서 중남미와 카리브해 연안 지역 등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소두증이 동아시아에서도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대만내 첫 지카 바이러스 감염자로 확...
- 2016-01-25 11:13
-
- 올림픽 개최 브라질 ‘소두증’ 확산 비상
- 올해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올림픽을 개최하는 브라질에서 ‘소두증’이 발병해 비상이 걸렸다. 소두증은 정상보다도 작은 머리를 가진 신생아를 태어나게 하는 선천적 기형증이다. ‘이집트숲모기’가 옮기는 지카 바이러스가 야기한다.
...
- 2016-01-24 19:53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