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6.12.04 15:30 수정 : 2016.12.04 19:0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2일(현지시각) 차이잉원 대만 총통과 전화통화를 했다. 미국 대통령 또는 당선자가 대만 정상과 직접 대화한 것은 37년 만에 처음이어서 미-중 관계에 미칠 파장이 만만찮을 듯하다. 남중국해 사태, 북한 핵 문제, 경제 갈등,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 한국 배치 문제 등에 이은 악재다.

‘하나의 중국’은 중국 대외정책의 핵심 원칙 가운데 하나로, 미국의 역대 정부도 이를 존중해왔다. 트럼프 당선자가 일부러 이를 깼다면 미-중 관계는 근본적으로 달라질 수밖에 없다. 그렇잖아도 그는 대선 기간에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고 중국산 제품에 고율의 관세를 매기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중국이 가장 경계하는 ‘대만 카드’를 꺼낸 트럼프 당선자의 의도를 두고 해석이 분분하지만, 미-중 관계가 새로운 시험대에 오른 것은 분명하다. 중국 정부가 일단 ‘대만이 일으킨 장난질’로 규정한 것은 미국과의 정면충돌을 바라지 않는다는 뜻이기도 하다.

미-중 갈등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북한 핵 문제가 대표적이다. 지난 몇 해 동안 핵 문제가 급격히 나빠진 배경에는 미국과 중국의 전략적 대립이 깔려 있다. 두 나라의 갈등이 고조된다면 핵 문제 해법 찾기는 사실상 불가능하게 된다. 최근 중국이 한국 기업에 보복 조처를 취하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드 문제도 기본적으로 미-중 갈등의 산물이다. 중국이 세무조사나 수입규제 등으로 한국 기업을 압박하는 것은 옹졸한 태도이지만, 미-중 불신이 가라앉지 않는 한 사드 문제도 풀기가 쉽지 않다.

미국과 중국은 대국답게 일방적 행동을 자제해야 한다. 트럼프 당선자의 미국우선주의가 다른 나라의 희생이나 정세 악화를 전제로 해선 안 된다. 중화주의에 기댄 중국의 공세적 모습 또한 사라져야 한다. 특히 동아시아에서 미국과 중국의 충돌은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