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런던 유스턴역에서 브렉시트 반대 캠페인을 벌이는 대학생과 자원봉사들 모습이 보인다. 조기원 기자
|
[조기원 기자의 영국 현지 르포]
대학생들 하루 12시간 반대 캠페인 벌이기도
브렉시트 찬성 캠페인 저조했으나 결과 반대
영국 EU 탈퇴 결정 뒤 REMAIN 스터커 찢겨
“장기적으로는 이민자 등 외부사람들을 미워하거나 증오하는 분위기가 당연시 될 것이다.”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가 열리기 하루 전날인 22일 오후 런던 유스턴 기차역에서 브렉시트 반대 캠페인을 하던 대학생 다니(26)는 브렉시트가 현실화할 경우 사회적으로 큰 타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일자리를 뺏는 이민자들을 막기 위해 유럽연합을 탈퇴해야 한다는 브렉시트론자들의 주장이 영국 전체의 주장인 것처럼 오도될 수 있다는 뜻이다.
다니는 22일에도 활발하게 소셜네트워크에서 반대 진영 움직임을 전했다. 하지만 23일 아침 국민투표 결과 영국이 유럽연합(EU)에서 탈퇴하기로 결정이 나자, 다니는 이날 아침 소셜네트워크에 글을 올리지 않았다.
다니가 다른 대학생 친구들 6~7명은 유스턴역에서 반대 캠페인을 벌일 때만 해도 분위기는 그들에게 유리한 듯 보였다. 대학생들이 브렉시트 반대 진영 논리를 담은 팸플릿을 나눠줄 때 많은 시민들이 이를 거부하지 않고 받아줬다. 일부 시민들은 자신들이 먼저 다가가 ‘인’(in)이라고 적힌 스티커를 받아갔다. 인(in)이라고 적힌 스티커를 가슴에 달고 있는 시민은 보였어도 ‘아웃’(out)이나 ‘리브’(leave)라고 적은 스티커를 붙인 이들은 거의 없었다.
다니와 친구들은 브렉시트 반대 캠페인을 길게는 하루 12시간씩 벌이기도 했다. 여름방학이 이미 시작돼서 지방 출신 학생들은 집으로 내려간 경우가 많아서, 런던 출신 학생들 위주로 캠페인을 벌였다. 대학원 박사과정인 다니는 “2~3달전에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번 선거는 일생에 한번 있는 선거라 다른 선거와는 성격이 다르다. 팸플렛 같은 것은 노동당에서 지원을 받았다”고 말했다.
심리학을 전공하는 20살 여대생 재스민은 “일정하지는 않지만 하루 12시간 캠페인에 참여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재스민은 “영국이 유럽연합 안에 있으며 여행을 다니기 편했다. 하지만 유럽연합에서 나가면 제약이 생겨서 불편할 것이다”고 말했다.
|
23일 런던 시내 한 상점에 리메인이라고 적힌 스티커가 찢겨 나간 모습이 보인다. 조기원 기자
|
|
22일 런던 유스턴역에서 브렉시트 찬성을 주장하는 여성이 리브라고 적힌 뱃지를 가슴에 달고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조기원 기자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