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07.12 11:53
수정 : 2018.07.16 12:03
|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지난 8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
“3월까지 경찰청내 군인들 상주하며 정보 수집
한민구 등 민간인 된 관련자 수사 방안 내놔야”
|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지난 8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12일 국군 기무사령부의 ‘계엄령 검토 문건’ 의혹에 대해 “한민구 전 국방부 장관을 비롯한 대다수의 관련자들이 이미 민간인이 됐다”며 “청와대는 군 내부 수사는 물론이고 민간인이 된 사람들에 대한 수사 방안을 내놔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정책회의에서 “21세기 대한민국에서 평화적인 촛불시위를 하는 국민들을 향해 총부리를 겨누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세월호 참사 시기 대규모 민간인 사찰 등을 통해 관련 대책을 청와대에 건의하는 등 어처구니 없는 기무사의 정치개입 행위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 같이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기무사의 국기문란 행위는 보수 정권 9년은 물론이고 현 정부에서도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 3월까지 경찰청 내 군인들이 상주하며 각종 시위 정보를 수집해서 기무사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송영무 국무부 장관은 기무사의 계엄 검토 문건을 보고 받고 4개월 동안 어떤 행위도 하지 않았다”라며 “군 통수권자로서 문재인 대통령은 현 정부 시절까지 이어진 기무사의 정치 개입 행태를 왜 그간 파악하지 못했는지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도록 설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최대한 이른 시기에 국회 국방위원회와 운영위원회를 열어 이 사건 전반의 진상 파악을 위한 청문회 실시 등 국회 차원의 조처를 취할 것을 공식 제안한다”고 덧붙였다.
송경화 기자
freehwa@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