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07.16 10:48
수정 : 2018.07.16 11:58
|
김종대 정의당 의원. 류우종 기자
|
<불교방송>서 기무사 개혁방향 밝혀
“사찰·청와대 연결업무 폐지해야”
|
김종대 정의당 의원. 류우종 기자
|
기무사의 ‘계엄령 검토 문건’ 파문으로 기무사 개혁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김종대 정의당 의원이 “기무사의 정권 보위부대로서의 기능과 기무사가 청와대와 연결돼서 하는 업무, 두 가지를 없애야 한다”고 기무사 개혁방향을 제시했다.
김 의원은 16일 불교방송(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계엄 문건이 작성된 배경을 살펴보고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 그때 당시 정치권력에 충실하기 위해서 만일의 사태를 위해서 계엄 검토를 했다는 것 아닌가. 누가 기무사에 그런 권한을 맡겼고 언제부터 기무사가 정권의 보위부대가 됐느냐”라며 이렇게 말했다. 이런 맥락에서 김 의원은 “정권의 보위부대로서의 기능인 두 가지를 없애면 된다”며 “하나는 사찰 기능인 ‘일반 정보’이고, 다른 하나는 쿠데타 방지라고 해서 기무사가 청와대와 연결돼서 하는 업무인 ‘대정부기무’”라고 기무사 개혁방향을 밝혔다. 김 의원은 이어 “(그런 뒤) 4200명 정도 되는 인력을 방첩기능 600명 이내로 줄이고 나머지는 다 군에 돌려보내면 된다”고 했다. 기무사에 고유의 업무인 방첩기능만 남겨야 한다는 것이다.
기무사의 ‘방첩기능’에 대해 김 의원은 “원래 김대중 대통령 때 검토한 안인데 합동참모본부에 정보본부라는 쓰리스타 정도의 본부가 있다. 그 중장 쓰리스타 밑에 투스타나 원스타로 낮춰서 그 예하 부대로 지휘권을 통합시켜버리면 더 이상 기무사가 무슨 정권에 충성하는 그런 부대라는, 정치부대라는 오명은 이제 흔적 없이 지울 수 있다고 보고 이후로 다시는 이런 문건 작성은 없어질 것”이라고 했다.
김규남 기자
3strings@hani.co.kr
광고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