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8.14 15:09 수정 : 2018.08.14 16:18

대구 119구급대원들이 도로에서 구토와 두통, 고열, 어지럼증세를 보이는 온열환자에게 응급처치를 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대구소방본부 조사 결과
냉방시설 없는 저소득층 피해 집중
시간대는 오후 3시∼6시 31% 발생

대구 119구급대원들이 도로에서 구토와 두통, 고열, 어지럼증세를 보이는 온열환자에게 응급처치를 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대구지역 폭염 온열환자 10명 가운데 4명은 집안에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소방안전본부는 14일 “올해 119구급차량으로 병원으로 옮겼거나 현장에서 응급처치한 온열환자 135명을 분석한 결과, 전체의 39.3%인 53명이 집안에서 구토, 두통, 고열, 어지러움, 구역질 등 온열증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대구소방안전본부는 “집안에서 온열증세를 보여 119구급차량을 부른 이들은 에어컨 등 냉방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저소득층이나 노약자인 것으로 분석된다”고 덧붙였다. 온열증세 발생 지역은 집안 다음으로 도로(34.1%), 집주변(11%), 실외작업장(3.7%), 실내작업장(2.2%) 순으로 집계됐다.

온열환자 발생시간은 오후 3시∼6시가 31.9%로 가장 많고, 낮 12시∼오후 3시가 27%로 뒤를 이었다. 아침 6시∼낮 12시(19%), 오후 6시∼밤 12시(18%), 새벽 0시∼아침 6시(3%)에도 온열환자는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열환자의 나이는 80살 이상이 42%로 가장 많았고, 60살∼70살(17%), 70살∼80살(17%), 60살 이하(24%) 순으로 나타났다. 대구소방본부 쪽은 “전체 온열환자의 76%가 노년층인 것으로 드러났다. 노년층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창화 대구시 소방안전본부장은 “하루 중 기온이 가장 높은 오후 2시∼5시엔 외부활동을 자제해야 한다. 특히 집안이 더울 때는 인근 무더위 쉼터를 찾아 한낮 폭염 열기를 피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대구소방안전본부는 대구 시내 119안전센터 48곳을 무더위 쉼터로 꾸며놨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기사

전체

정치

사회

경제

지난주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