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2.07 11:35 수정 : 2019.02.07 16:36

청와대 “유족 의견 최대한 존중”

태안화력발전소 비정규직 노동자 김용균씨의 장례식이 7일부터 사흘 동안 치러지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과 유족의 만남이 언제 이뤄질지 관심이 쏠린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7일 “장례식이 치러지는 만큼 문 대통령과 유족이 만나지 않을 이유가 없다”며 “언제라도 기회가 되면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도 “유족을 만나겠다는 문 대통령의 제안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 청와대 사진기자단
문 대통령은 지난해 12월28일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을 통해 “위험의 외주화를 방지하는 ‘김용균법’(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이 어제 국회를 통과한 것을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산재로 사망하신 고 김용균님의 모친 등 유족을 만나 위로와 유감의 뜻을 전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당시 유족들은 “대통령은 만나고자 한다”면서도 철저한 진상규명과 발전소 상시지속 업무의 직접고용, 정규직 전환 등이 이뤄진 뒤 만나겠다고 했다. 청와대는 지난달 31일에도 “유족과 대통령의 면담은 문재인 대통령이 양대 노총 위원장 면담 때 밝혔듯이, 유족이 원하면 언제든지 가능하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5일 김씨가 일했던 연료·환경설비 운전 분야 근로자 2200여명을 공공기관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사망 원인을 조사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이를 ‘청년 비정규직 고 김용균 시민대책위원회’가 수용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문 대통령과 유족이 만나는 시기와 형식은 전적으로 유족분들의 의견을 존중하는 것이 맞을 것 같다”며 “아마 유족 쪽에서는 9일 김용균씨의 장례식이 끝난 뒤에 문 대통령과 만나길 바라는 것으로 알고 있다. 유족의 연락이 오면 적극적으로 검토해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삼일장으로 치러지는 김씨의 장례식 기간에는 문 대통령이 조문을 가는 일정이 잡히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한편, 청와대에서는 장례 마지막날인 9일 이용선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이 조문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기사

전체

정치

사회

경제

지난주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