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10.11 22:06 수정 : 2006.10.11 23:25

인도가 엉뚱하게 북한 핵실험의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다.

경제성장에 불을 지피기 위해서는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3%에 불과한 원자력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절실한 인도가 북한 핵실험의 대표적인 희생양으로 부각되고 있는 형국이다.

오스트레일리아 보존재단(ACF)의 데이비드 나눈 사무총장은 11일 현지 라디오에 출연해 “북한 핵실험 사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인도 등 아시아 국가에 왜 우라늄을 팔아서는 안되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라고 밝혔다고 인도 <피티아이>(PTI) 통신이 멜버른 소식으로 보도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의회에서도 인도에 대한 우라늄 판매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연일 터져나오고 있다.

주한 오스트레일리아 대사를 역임한 리처드 브로이노스키 의원은 “인도에 우라늄을 판매하는 것은 아주 어리석은 일”이라며 “특히 북한 핵실험으로 핵무기비확산조약(NPT) 체제가 위태롭게 된 현 시점에서는 더욱 그렇다”고 말했다.

세계 우라늄 매장량의 41%를 보유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는 인도와 같은 핵무기비확산조약(NPT) 미가입국에는 우라늄을 판매하지 않는 정책을 갖고 있지만, 지난해 인도-미국 핵협정 체결 이후 인도에 대한 금수규정을 해제할 방침임을 계속 시사해 왔다.

인도 정부는 북한 핵실험을 계기로 현재 미 상원에 계류돼 있는 핵협정에 관한 법안이 ‘레임덕 회기’로 지칭되는 다음달에 통과하지 못할 경우를 상당히 우려하고 있다.

1998년 핵실험 직후 인도와 파키스탄에 대한 경제제재 조처는 6개월여 만에 해제됐지만 이들 두 나라에 대한 국제사회의 핵동결은 아직 풀리지 않고 있다. 뉴델리/연합뉴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