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용정책 효과” “일부 젊은층 무관심” 의견 갈려
“언론 경쟁적 보도 자제…정확한 정보 전달” 지적도
북한 핵실험이라는 초대형 ‘안보 악재’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반응이 매우 차분하다. 1994년 북한의 ‘서울 불바다’ 발언에 이은 국제원자력기구 탈퇴 때 일부 국민들이 생필품 사재기를 하는 등 소동이 일었던 것과 비교된다. 주식 시장도 당일인 9일 급락하더니 이후 이틀 동안 안정을 되찾아가고 있다.
시민 의식이 성장했다?=오랜 화해·협력 정책이 국민들의 심리적 안정을 가져왔고, ‘북핵이 곧 전쟁’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만큼 시민 의식도 성장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철기 동국대 교수(국제관계학과)는 이런 변화를 긍정적으로 해석했다. “국민들이 냉전 시대와 달리 북한의 군사상황과 한반도 안보에 대해 객관적인 인식을 갖게 됐다. 이는 대북 포용정책의 긍정적인 산물로서 포용정책이 아니었다면 지금쯤 안보불안감이 조성되며 사재기와 외국자본 탈출 등이 일어났을 것이다.”
손혁재 참여연대 운영위원장은 “일부 보수언론과 야당의 호들갑과 달리 시민들은 북한 핵실험의 성공 여부와 규모, 실질적 유효성 등에 대해 차분히 지켜보고 있는 것 같다”며 “최악의 경우는 대비해야 하겠지만 무작정 안보 위기를 부추기거나 감정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문학평론가 이명원(36)씨도 “추석 연휴 때 가족들과 북한 핵실험에 대해 많이 얘기했는데 북한에 대한 인식이 이전보다 훨씬 유연해진 것을 확인했다”며 “시민들이 본능적으로 평화주의에 대한 애착이 있고 북한에 대해 민족적 친화력이 높아진 결과 차분한 분위기가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안보 불감증이 커졌다?=그러나 다른 쪽에선 북핵 사태를 반복해서 겪으면서 ‘안보 불감증’이 커졌다는 주장도 나온다. 장외주식 매매업을 하는 피닉스투자의 김대일 사장은 “상장주의 흐름처럼 장외주 또한 북핵에 별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일부 젊은층에게는 무관심에서 비롯된 안보불감증이 분명히 있는 것 같다”고 판단했다.
박찬성 북핵저지 시민연대 대표는 “김대중·노무현 정권의 대북 포용정책 탓에 시민들이 안보불감증에 취한 게 사실”이라며 “이미 북한의 핵실험으로 시민들이 충격을 받았지만 상황이 혼란스러워 판단을 쉽게 내리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박 대표는 “지금 상황은 마치 물꼬가 터지기 직전에 물이 차오르는 때와 같다”고 말했다.
같은 보수 세력 안에서도 약간의 견해 차이는 있었다. 신해식 인터넷 독립신문 대표는 “주변에서는 걱정이 많지만 국민들이 설마 전쟁까지 가지는 않을 거라고 보고 있는 것 같다”며 “지금 상황에서는 시민들이 언론 보도를 예의주시하면서 관망하는 것일뿐 안보 불감증은 아닌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언론은 정확한 보도를!=이런 때일수록 국민들이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언론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박원순 아름다운 재단 상임이사는 “언론사들이 지나치게 많은 기사를 보도하려고 경쟁하거나 외신을 확인하지 않고 중계 보도하는 등의 행태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며 “평화적인 해법을 찾을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와 냉철한 시각으로 신중하게 보도할 책임이 언론에게 있다”고 지적했다. 전종휘 전진식 기자 symbio@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