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미국 대북정책조정관 98년 1차 미사일위기 협상 “부시 행정부 무기력이 핵사태 불러 한·일 핵무장 추구않게 안심시켜야” 그는 부시 행정부내 강온파간 갈등을 대북정책 표류의 주요한 원인이라고 밝혔다. “(부시 행정부는) 협상파와 (북한)정권교체를 노리는 압박파로 분열돼 6자회담에 대표를 파견하면서도 뚜렷한 전략을 갖지 못했다. 부시 행정부의 무기력을 간파한 북한은 공격적이고 위험한 핵 프로그램을 진행했다”고 그는 분석했다. 그는 최근 핵위기의 해법으로 “대북 경고가 영향력을 갖기 위해선 훨씬 더 구체적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핵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물자에 대한 더 강력한 제재는 합리적인 일이지만, 말은 이미 마구간에 없다. (강력한) 대북 압박을 원치 않는 중국과 한국 정부의 지지 없이 (압박정책이) 성공할 수 있다고 보는 건 순진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아·태 지역에 핵무장 경쟁을 촉발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완전 핵무장으로 재빨리 전환할 수 있는 한국과 일본이 자체 핵 억지력을 추구하지 않도록, 두나라가 여전히 미국의 핵우산 아래 있다는 걸 안심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전 미국 대통령 94년 1차 핵위기 협상 “전쟁 나면 한·미 인명피해 100만명 북-미 직접대화로 한단계씩 풀어야” 그는 2002년 조지 부시 행정부가 북한을 ‘악의 축’으로 불렀던 사실을 지적하며 “당시 나와 대화를 나눴던 북한의 대변인들은 미국 태도가 북한 및 그 정권에 심각한 위험이 된다는 것을 확신하고 있는 듯 했다”고 말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앞으로 국제사회의 선택방안으로 두가지를 제시했다. 하나는 군사적 위협과 금수조처를 더욱 강화해 이미 굶주리고 있는 북한 주민들의 고통을 가중시키면서 평양 지도자들에게 핵프로그램을 포기하도록 강요하는 것이다. 카터 전 대통령은 이 방안이 북한의 또다른 핵 관련 행동을 부추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하나는 북한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주장하는 지난해 9월의 베이징 6자 회담 공동합의를 이행하는 것이다. 그는 “이 두번째 선택방안은 이제 더욱 어려운 게 됐다”며, 북한이 뒤로 물러설 가능성은 높지 않으니 현실적으로 미국이 북-미 직접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곤경에 처한 핵 보유국(북한)이 국제사회에서 따돌림 당하고, 존립 자체를 위협받고, 국민들은 헐벗고 굶주리며, 강경파들이 군부와 정책 결정을 완전히 장악하고 있다고 확신하도록 그대로 내버려두는 일은 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