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9.29 20:28 수정 : 2010.09.29 20:28

지형학 전문가 콘돌프 교수
“강이 구불구불 흐르게 바꿔
스스로 침식·퇴적할 품 줘야”

4대강사업 국제 심포지엄

선진국에선 인위적인 제방쌓기와 직강화에 따른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강의 본래 모습을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하천을 정비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대한하천학회 주최로 열린 ‘4대강 사업 국제 심포지엄’에서 미국 버클리대 마티어스 콘돌프 교수(지형학)는 “미국에서 하천 복원의 초기 세대는 단일한 경로를 가진 수로의 형태로 복원했으나, 강의 역동성을 고려하지 않은 접근은 현명한 게 아니라는 걸 알게 됐다”며 “강이 흐르면서 스스로 침식하고 퇴적할 수 있는 품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캘리포니아 주 정부가 강 주변의 땅을 직접 매입해 관리함으로써 강이 스스로의 모습을 바꿔가며 흐를 수 있도록 한 사례를 콘돌프 교수는 소개했다. 그는 “새크라멘토강의 일부 둔치를 뒤로 물리거나 없애, 주변의 저지대 습지와 만나게 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유럽도 마찬가지다. 독일의 이자르강과 덴마크의 브리드강도 과거에 엔지니어들에 의해 직강화됐으나 범람과 같은 문제들이 끊임없이 불거지자 결국 구불구불 흐르는 자연의 모습으로 복원시켰다.

강 둔치의 수목을 베어내고 직선화한 제방을 쌓은 뒤 다시 인공식생을 하는 한국의 4대강 사업과는 정반대의 복원 사업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콘돌프 교수는 이들 나라가 강을 일부러 복잡하게 흐르게 돕거나 강 주변의 저습지로 물이 넘치도록 길을 터 생태적 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 하류의 홍수 피해를 막기도 한다고 전했다.

그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하천 복원의 5가지 기준도 제시했다.

하천 복원은 △역동적이고 건강한 모습의 강의 이미지가 있어야 한다 △강의 생태학적 조건이 측정 가능한 정도로 개선돼야 한다 △강의 시스템이 자활적이어서 사업 이후 어떤 변화에 스스로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복원 단계에서 생태계에 지속적인 피해가 가해져서는 안 된다 △사업을 앞뒤로 평가가 이뤄지고 공개돼야 한다는 것이다.


콘돌프 교수는 하천 복원의 첫 번째 계명으로 “건강한 강은 스스로 치유할 수 있게 공간을 내어주면 되니 손대지 말고 보전하라”를 꼽았다.

전종휘 기자 symbio@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