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0.10.01 18:00
수정 : 2010.10.06 14:31
|
산업폐기물이 불법매립된 경남 김해시 상동면 감노리 낙동강 둔치에 지난 30일 폐기물과 섞인 오염된 흙이 넓게 펼쳐져 있다. 이 지역에서 농사를 짓는 농민들은 “이곳에 딸기 등의 작물을 심으면 3년 되는 해에 말라죽는다”고 말했다. 김해/이종찬 선임기자 rhee@hani.co.kr
|
도지사 보고 않고 대책도 안세워
특위 현장조사하자 뒤늦게 공개
4대강 사업 구간인 경남 김해시 상동면 낙동강 둔치에서 산업폐기물·매립토 등이 대량 매립된 사실과 관련해, 경남도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으로부터 이를 통보받고도 50일 동안 실태조사 등 아무런 조처를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경남도의 관련 업무 주무 부서는 4대강 사업에 반대하는 김두관 경남도지사는 물론 경남도 낙동강사업 특별위원회 쪽에 보고하지 않았다.
부산국토관리청은 “김해시 상동면 낙동강 둔치에서 폐기물 등이 매립된 것을 지난 7월29일 불법 매립된 폐기물을 발견하고, 8월9일 경남도에 이 사실을 공식 통보했다”고 1일 밝혔다. 당시 부산국토청이 경남도에 보낸 ‘낙동강 살리기 사업 8공구 준설구간 매립토 조치 요청’이란 공문을 보면, “공구 사업구간 안에 문화재 표본 시굴(김해 감노리 유물산포지Ⅲ) 조사 중 매립토가 발견됐다”며 “(경남도가) 조사해서 대책을 세워 달라”고 돼 있다.
하지만 경남도의 4대강 사업 관련 주무 부서인 건설항만방재국과 국책사업지원과는 이 내용을 김 지사는 물론 경남도 낙동강사업 특위 공동위원장인 강병기 경남도 정무부지사에게 보고하지 않았다. 특위 관계자는 <한겨레> 기자와의 통화에서 “지난달 중순 지역민으로부터 문제의 지점에 폐기물이 묻혀 있다는 제보를 받고 담당 부서에 문의했으나, 부산국토청 공문을 통해 이미 사실을 알고 있었을 터인데도 ‘특별한 문제가 없다’는 대답만 들었다”고 말했다.
낙동강사업 특위가 현장 조사를 하고 기자회견을 준비하자, 건설항만방재국은 지난달 28일에야 이 공문이 왔다는 사실을 처음 공개했다.
이에 대해 김아무개 건설항만방재국장(3급)은 “폐기물이 발견된 낙동강사업 8공구는 부산국토청이 경남도에 위탁한 사업 구간이지만, 착공하기 전까지는 경남도가 관여할 권한이 없어 부산국토청의 문화재 조사가 끝나기를 기다리고 있었다”며 “오는 11월25일 문화재 조사가 끝난 뒤 도지사에게 보고하려고 했으며, 폐기물 실태조사는 그 이후에 하려고 했다”고 말했다.
창원/최상원 기자
csw@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