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10.20 20:09 수정 : 2010.10.20 20:09

20일 오후 경남 양산시 물금읍 증산리 낙동강 둔치에 녹슨 철사 등이 섞인 폐콘크리트가 가득 쌓여 있다. 부산국토관리청은 4대강 사업 가운데 낙동강변에 건설하는 생태공원에 이런 폐콘크리트 2만여t을 성토용 골재로 사용하기로 해 환경단체의 반발을 사고 있다. 양산/이종찬 기자 rhee@hani.co.kr

4대강사업 선도지구 공사
농로 걷어낸 2만t 쓰기로
유해물질 차단장치 없어
“폐기물처리장 만들 판”

국토해양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이 4대강 사업으로 낙동강변에 짓는 생태공원에다 수만t의 폐콘크리트를 성토용 골재로 쓰고 있는 사실이 드러났다. 환경단체 등은 “폐콘크리트에서 나온 유해 성분이 부산 시민 식수원을 오염시킬 수 있다”고 비판했다.

부산국토관리청은 경남 양산시 물금읍 물금리~증산리 일대 낙동강 양산1지구(4.1㎞)를 4대강 사업 선도지구로 지정하고, 내년 말 완공 목표로 지난해 4월부터 생태공원을 건설하고 있다. 부산국토청은 지난 5월부터 양산1지구의 콘크리트 농로를 거둬들여 낙동강 둔치에 쌓아놓고 잘게 부수고 있다. 모두 2만여t에 이르는 폐콘크리트는 생태공원 땅 밑에 파묻을 계획이다.

낙동강 지키기 경남본부는 20일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생태공원을 만든다면서 철골 등 온갖 산업폐기물이 뒤섞인 폐콘크리트를 성토용 골재로 쓴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며 부산국토청에 방침 철회를 촉구했다. 경남본부는 “폐콘크리트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각종 유해 중금속이 포함된 침출수와 먼지가 부산 시민의 식수원인 낙동강으로 흘러들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날 양산1지구 생태공원 조성공사 현장에는 폐콘크리트 무더기가 수십개 쌓여 있었고, 일부 폐콘크리트는 이미 바닥에 깔려 단단히 다져져 있었다. 바닥에 깔린 폐콘크리트에는 성토용으로 쓸 수 없는 녹슨 철사와 플라스틱, 비닐 등 이물질이 뒤섞여 있었다.

임희자 마산·창원·진해 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최근 낙동강 6~19공구 거의 모든 구간에서 불법 매립된 폐콘크리트 무더기와 무단 조성된 콘크리트 시설물이 발견되고 있다”며 “낙동강 둔치를 폐기물 처리장으로 전락시키는 4대강 사업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에 부산국토청은 “전문기관에 의뢰한 결과 폐콘크리트를 성토용 골재로 사용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나왔고 경남 양산시의 승인도 받았다”며 “다만 철골 등 이물질은 모두 골라내 폐기하겠다”고 밝혔다.

낙동강 둔치에서 폐콘크리트를 파쇄하면서 침출수 유출 방지 등을 위한 안전시설을 하지 않은 점에도 비판이 제기됐다. 부산국토청은 “침출수가 나오지 않는 것으로 파악돼 별도의 안전시설은 갖추지 않았다”며 “폐콘크리트를 강 둔치에서 파쇄하는 것이 위법인지는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한편 부산국토청은 경남 김해시 상동면 낙동강 둔치(4대강 사업 낙동강 8~9공구)에서 발견된 수십만t의 불법 매립 폐기물과 관련해 이날 경남경찰청에 수사를 의뢰했다고 밝혔다. 불법 폐기물을 매립한 주체가 밝혀지면, 법적 책임을 묻고 폐기물 처리 비용도 청구할 방침이다.


창원 부산/최상원 김광수 기자 csw@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