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0.11.12 10:05
수정 : 2010.11.12 10:05
|
지난 4일 부산의 야 4당 지도부들이 4대강 사업 낙동강 8공구 둔치에서 문화재 조사과정에서 발견된 폐기물을 살펴보고 있다. 이곳에서 불과 1㎞ 아래에 부산시민의 식수로 사용되는 매리취수장이 있다.
|
시민들 식수 위협에도 40일 넘도록 공식입장 안밝혀
부산시와 부산시의회가 부산시민의 식수원인 낙동강 주변에서 대규모 폐기물이 불법매립돼 시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데도 수수방관하고 있다.
부산시는 9월30일 경남도 낙동강사업특별위원회가 낙동강 8~9공구에 대규모 폐기물 매립 사실을 처음 폭로한 뒤 40일이 지났으나 이와 관련한 공식 태도를 밝히지 않고 있다. 시의회도 의원 53명 가운데 민주당 이성숙 의원이 10일 상동면 폐기물 대책을 요구하는 결의문을 만들어 야 4당 구의원 40여명과 함께 부산국토관리청과 낙동강유역환경청에 우편으로 보냈을 뿐 의회 전체 차원의 움직임은 없는 상태다.
대규모 폐기물이 묻혀 있는 곳은 낙동강 표류수를 펌프로 끌어올리는 매리취수장(경남 김해시 상동면)과 물금취수장(경남 양산시 물금읍) 상류 1~3.5㎞ 지점이어서, 국토해양부가 강 너비를 500m로 넓히기 위해 폐기물이 매립된 둔치를 길게는 너비 180~200m, 깊이 6m로 파는 과정에서 유독성 침출수가 취수장으로 흘러들어갈 수도 있다.
특히 폐기물의 성질과 양에 따라 부산시민의 식수 위험성은 커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부산국토관리청은 지난달 28일 보도자료를 내 “산업·건설폐기물 12만t 등 58만t의 폐기물이 매립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는 애초 부산국토청이 추정한 22만t보다 2.5배가량 많은 것으로 24t 덤프트럭 10만대 분이다. 게다가 이 분량은 160개의 시굴공 가운데 70%인 112개를 기준으로 추정한 것이어서 조사가 끝나면 매립량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심각성 때문에 도민이 먹는 식수의 60%를 낙동강 물을 사용하고 있는 경남도는 지난달 국토해양부에 상동면 폐기물의 철저한 진상조사와 완벽한 처리 등을 강력히 요구했으며, 독자적인 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김상화 낙동강공동체 대표는 “1991년 낙동강 페놀 사태가 터지고 95년 낙동강 상류 위천공단 조성 계획이 발표됐을 때 부산시와 여야 정당 및 시민사회단체가 너나 할 것 없이 부산시민 식수를 지키기 위해 똘똘 뭉쳤던 것에 견주면 상동면 폐기물 문제에 대해 부산시와 시의회가 이상할 정도로 조용하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