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12.09 19:48 수정 : 2010.12.10 07:59

침사지서 3일 저장 정화 필요
배수관 구멍 뚫어 공정 ‘생략’
“4대강 속도전 위해 불법자행”

경남 의령군 지정면 성산리 ‘성산들’ 농경지에 침수 피해를 일으킨 정부 4대강 사업 낙동강 19공구(<한겨레> 12월9일치 1면)에서 준설공사를 벌이는 시공업체 금호건설이, 준설토에서 나온 흙탕물을 걸러내는 침사지 중간에 배수구를 뚫어 오염물질·흙이 섞인 침출수를 낙동강에 그대로 흘려보내다 지난 8일 환경단체 회원 등에게 적발됐다.

준설공사가 한창인 19공구 낙동강 둔치에는, 침사지와 배수로가 분리돼 있는 다른 공구와 달리 침사지와 배수로가 일체형으로 돼 있었다. 그러나 에스(S)자 형태로 네 차례 휘어진 배수로의 끝은 막혀 있었고, 두번째 굽어지는 부분에 지름 1m의 배수관 3개를 설치해 침출수를 강으로 흘려보내고 있었다.

국토해양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이 작성한 <낙동강 살리기 사업 1권역(부산·경남지역) 환경영향평가서>를 보면, 준설토의 침출수는 침사지에 사흘가량 가둬놓아 오염물질·흙 등의 알갱이를 90% 이상 가라앉힌 다음, 맑은 윗물만 둑을 넘어 배수로를 거쳐 강으로 되돌려보내게 돼 있다. 하지만 이곳에서는 걸러지지 않은 시커먼 침출수가 몇 분 만에 낙동강 본류로 흘러들고 있었다.

준설작업장 바깥에 설치된 오탁방지막 안의 물은 거의 흙탕물이었다. 8일 오후 낙동강유역환경청이 오탁방지막 바깥쪽 물을 측정했는데도 탁도가 기준치(50NTU)를 초과할 정도였다. 시공업체 쪽은 그때서야 뒤늦게 준설작업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공업체 현장책임자는 “준설토가 사흘만 지나면 2m 깊이 침사지에 가득 차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며 “침출수 수압 때문에 침사지 벽면이 자꾸 무너져 열흘 전쯤 침사지 중간에 임시 배수구를 설치했다”고 말했다. 그는 “임시 배수구를 막고 바닥의 준설토를 걷어내 침사지 기능을 살리겠다”고 덧붙였다.

임희자 마산·창원·진해 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4대강 사업의 ‘속도전’을 따라잡으려고 침사지에 준설토가 쌓여도 공사를 강행한 것으로 보인다”며 “낙동강 19공구는 한국수자원공사가 시행하는 곳이라 경남도의 눈길이 미치지 않아서 다른 공구보다 편법이 더 심한 것 같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0월21일 경남 양산시 물금읍 낙동강 6공구 준설공사장에서도 침사지를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채 침출수를 낙동강으로 흘려보낸 사실이 경남도 낙동강사업 특별위원회 현장조사에서 드러난 바 있다.

의령/최상원 기자 csw@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