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2.02.24 08:41
수정 : 2012.02.24 08:41
낙동강지키기 경남본부
합동점검단 재구성 요구
“역행침식 등 문제점 지적
하천학회 전문가 배제돼”
경남 지역 환경단체들이 국토해양부에 ‘4대강 사업 민관 합동 특별점검단’의 재구성을 요구하고 나섰다.
낙동강지키기 경남본부는 23일 보도자료를 내어 “4대강 사업의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했던 대한하천학회 소속 전문가들을 철저히 배제하고, 4대강 사업 찬동 전문가들로만 점검단을 구성해 활동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다”며 “국토부의 민관 합동 특별점검단 구성과 활동은 국민들의 불신을 더욱 증폭시키는 것 외에 그 어떤 결과도 얻을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들은 “국토부가 스스로 밝힌 것처럼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찬동자 중심의 점검단 구성을 백지화해야 하며, 4대강 사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시민사회단체와 대한하천학회 소속 전문가들의 참여를 보장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들은 점검단이 ‘찬동 전문가’로 구성됐다고 주장하는 근거로 점검단의 총괄 1명과 권역별 단장 5명 등 책임자 6명 가운데 5명이 이른바 ‘4대강 사업 찬동 에이(A)급 전문가’에 포함된 인물들이고, 나머지 1명도 기고를 통해 4대강 사업을 찬동한 인물이라는 점을 들었다.
이에 앞서 지난해 10월 4대강 사업의 문제점을 조사하기 위해 환경운동연합과 파워블로거 등이 만든 ‘4대강 비리수첩 제작단’은 4대강 사업의 실체를 매우 강하게 왜곡시키고 노골적으로 찬양한 전문가 44명을 선정해 ‘4대강 사업 찬동 에이급 전문가’로 발표했다.
한편 국토해양부 4대강살리기추진본부는 4대강 본류 사업의 준공을 앞두고 보·수문·바닥보호공·하상유지공 등 주요 시설물을 점검해 문제점을 발굴·보완하기 위해 민간전문가 중심으로 민관 합동 특별점검단을 구성해 오는 27일부터 다음달 말까지 점검 활동을 벌일 계획이다.
이에 따라 대학교수 등 민간전문가 44명 등 93명으로 이뤄진 점검단을 구성했지만 보 주변 농경지 침수, 보 구조물 누수, 보 하류 강바닥 파임, 지천 역행침식, 4대강 본류 재퇴적 등 4대강 사업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발견했던 대한하천학회 소속 교수 등 민간전문가는 점검단에 전혀 포함되지 않았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