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2.04.12 20:16
수정 : 2012.04.12 22:31
비수도권·50대 이상선 영향력 뚝…‘신 여촌야도’
“민주당이 소셜공간 여론 따라잡지 못해” 지적도
19대 총선은 한국 사회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뿌리내린 뒤 처음으로 야권이 전국 단위 선거에서 참패한 선거로 기록될 전망이다. 11일 오후 방송사들의 출구조사가 발표될 때까지만 해도 소셜 공간에서는 이번 총선을 통해 이명박 정권의 지난 4년을 심판할 수 있다는 낙관론이 넘쳐났다. 시민들은 선거 날인 11일을 ‘엠비(MB) 심판의 날’로 정하고, 서로 투표를 격려하며 인증샷을 올렸다. 소셜 공간의 유명 인사들은 ‘투표율 70%’를 달성 가능한 목표로 설정하고 다양한 이벤트를 공약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작 투표율은 채 60%도 넘기지 못하고 54% 선에서 멈춰서고 말았다.
고계현 경실련 사무총장은 12일 “이번 선거를 통해 진보적인 20~40대들이 모인 소셜 공간의 영향력은 수도권 이외의 지역과 50대 이상의 연령층으로 가면 급격히 줄어든다는 사실이 확인됐다”고 지적했다. 소셜미디어에 접근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표가 갈리는 새로운 ‘여촌야도’ 현상이다.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 등 야권이 승리를 거둔 곳은 소셜미디어의 주 이용 계층인 진보 성향의 20~40대들이 모여 사는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 몰려 있다. 충청 지역에서도 인구가 비교적 밀집한 대전·청주·천안 등에선 민주당 후보가 당선됐고, 새누리당 후보 당선 지역은 대체로 농촌 지역이 많았다.
2008년 촛불집회를 즈음해 등장한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한국 사회의 여론 질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소셜 공간에서 결집한 20~40대 진보적 성향의 유권자들은 온라인을 중심으로 ‘4대강 반대’, ‘무상급식’, ‘엠비 심판’ 등 구체적인 이슈를 두고 결합해 사회 여론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그 때문에 정치인들은 앞다퉈 소셜미디어 계정을 개설해 이들과 소통을 시도하기도 했다. 통합진보당 노회찬 당선자의 팔로어는 21만7000여명으로 허준영 전 경찰청장(2800여명)보다 70여배나 많았고, 170표 차이 신승을 거둔 심상정 후보자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이번 선거를 계기로 소셜미디어의 한계가 확인되면서, 진보 진영의 고민은 더 깊어질 전망이다. 소셜미디어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지방 유권자들의 위력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나꼼수’ 등 소셜미디어의 위력을 극적으로 보여준 지난해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서울이라는 공간에 한정됐기 때문에 가능한 승리였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트위터가 소통의 공간이 아니라 동원의 공간이 돼버렸다는 얘기도 나온다. 김두식 경북대 교수는 12일 트위터에 “같은 편만 결집하는 트위터가 아니라, 다른 편을 설득하는 트위터를 만들어야 한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적에게 적용한 기준을 우리 편에게도 적용하는 공정성이 필요하다”고 적었다.
물론 소셜미디어의 역동성을 과소평가하면 안 된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지난해 아랍의 민주화를 가져온 ‘재스민 혁명’과 미국의 ‘월가 점령 시위’에서 볼 수 있듯 대중을 동원하는 소셜미디어의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는 것이다. 장덕진 서울대 교수(사회학)는 “이번 선거에서 소셜 공간의 역동성이 선거 결과로 이어지지 못한 것은 민주통합당 등 기성 정치권의 잘못”이라며 “소셜 공간의 여론은 민주당이 훨씬 더 개혁적인 인물을 등용하고, 사람들의 피부에 와닿는 정책을 수용하기를 원했지만 민주당이 이를 따라잡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길윤형 김지훈 기자
watchdog@hani.co.kr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