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은평구 불광동 연신교회 보듬손어린이집에서 지난달 28일 어린이들이 장난감 놀이터 개소식에 참석해 선생님과 학부모들이 현판 가림막을 벗기는 동안 꽃가루를 뿌리고 있다.
|
[베이비트리] 보듬손어린이집의 놀이터 실험
“저기는 우리가 눕는 침대예요. 위로 올라가면 안 돼요! 여기는 바다예요~ 누구도 절대 안 빠지는 바다! 미끄럼틀을 타고 쭉 내려오면 바다에 풍덩 할 수 있어요.” 박서현(7)양이 해맑은 미소를 지으며 놀이터 구석구석을 소개했다. 서현양의 설명을 들으니 그제야 놀이터 공간 하나하나가 의미있게 다가왔다. ‘세계 놀이의 날’인 5월28일 서울 은평구 불광동에 있는 국공립어린이집 보듬손어린이집에서 작은 축제가 열렸다. 이날은 이 어린이집에 다니는 7살 아이들이 직접 기획하고 부모·선생님의 협조를 받아 완성한 자신들만의 장난감 놀이터를 대내외적으로 소개하는 날이었다.
놀이터 개소식에서 아이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옷을 입고 패션쇼 하는 모습.
|
아이들이 가장 좋아했던 ‘나무동굴’.
|
실컷 놀다 쉴 수 있는 침대 찾아
어른 통제 벗어난 주도적 놀이가
아이들의 자립심과 협동심 키워 아이들이 말하는 놀이와 놀이터는? 아동 발달에 놀이는 필수적이다. 놀이의 중요성에 대해선 대부분 공감한다. 문제는 아이의 입장에서 즐거운 놀이와 놀이터가 부족하다는 것이 이 어린이집에서 놀이터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 배경이다. 이순희 보듬손어린이집 원장은 “놀이의 주체가 되는 ‘아이들의 입장’에서 논다는 것이 무엇인지 궁금했다”며 “한 달 동안 아이들과 놀이 프로젝트를 하며 어른들이 아이들의 놀이에 대해 얼마나 잘 모르고 있었는지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어른들은 바깥에 나가 놀아야 아이와 잘 놀아준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이 어린이집에서 맞벌이 아빠들을 대상으로 그룹 면담을 해보니 아빠들은 주말마다 아이들과 어떻게 놀아야 할지, 어디로 가서 놀아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 가장 많았다. 이 원장은 “아이들은 그냥 마음껏 놀 수 있는 놀이터가 필요한 것이지 꼭 바깥으로 나가야만 놀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었다”며 “아이들에게 놀이와 놀이터는 상당히 유동적인 개념이었다”고 설명했다. 특별히 놀이공원을 찾는다거나 키즈카페를 가지 않더라도 스스로 주도할 수 있는 놀이를 할 수 있고, 친구나 가족과 함께 활동적인 것들을 하면 아이들에게는 그것이 노는 것이었다. 아이들은 미술·피아노 선생님과 함께 하는 예능활동이나 책읽기, 글씨쓰기는 공부로 인식하고 있었다. 바깥놀이, 레고놀이, 얼음땡, 잡기놀이, 미끄럼틀, 공놀이, 팽이놀이, 강아지하고 놀기, 탑 블레이드, 미술 영역에서 선생님 없이 놀기 등은 놀이로 받아들였다. 놀이와 공부의 중간 영역으로는 피아노, 장구, 체육 시간 등을 꼽았다. 또 아이들은 놀이터에 장난감이 있는 것을 선호했고, 비밀 공간을 좋아했다. 한꺼번에 쉬거나 낮잠 자는 것처럼 일률적인 것 말고 놀이터에서 맘껏 놀다가 자기 스스로 자유롭게 쉴 수 있는 침대 같은 장소를 요구했다.
놀다가 아이들이 쉴 수 있는 침대.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
세계 놀이의 날이란?
우리나라 장난감도서관 최초 설립자이자 한국장난감도서관협회 창립자인 김후리다 박사가 우리나라에서 2000년부터 시작한 놀이장려 운동이다. 김 박사는 이 날을 국제장난감도서관협회와 유엔(UN)에 제안해 2001년 국제장난감도서관협회 이탈리아 총회에서 공식 채택돼 국제적으로 지켜지는 즐겁게 노는 날의 이름이다. 전 세계는 국제장난감도서관협회가 창립한 5월28일을 ‘세계 놀이의 날’로 정해 어린이들이 어른들과 함께 마음껏 놀 수 있는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