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4.11 17:48 수정 : 2019.04.11 19:27

김정헌
화가, 4·16재단 이사장

60~70년대 미술인들은 술만 취하면 ‘베껴묵기’를 노상 입에 달고 살았다. 이런 식이다. “누구는 브랑쿠시(루마니아 태생 프랑스 유명 조각가)를 ‘베껴묵고’ 베껴묵은 누구를 또 누가 베껴묵고….” 서양 모더니즘의 영향력이 절대적인 시절의 풍경이다. 그러면 베끼기의 일종인 ‘인용’과 ‘훔침’은 어떻게 다른가?

이번엔 만 52개월 된 내 손자 얘기로 시작한다. 요즘 들어 이 애가 가끔가다 독특한 말솜씨를 구사한다. “굳이 지금 밥 먹을 필요가 있나.” “불난 꿈을 꿨는데 가로등에 공을 던지니 공이 깨지고 피지직 하며 불이 났어. 심지어 등이 켜져 있지도 않았는데….” ‘굳이’와 ‘심지어’와 같은 부사는 그 나이에 쓰기 어려운 단어다.

내가 손주 얘기를 하는 이유는 모든 감성적인 활동은 다른 사람이 이미 한 행위(말이나 글쓰기, 그리기)를 빌려 온다는 것이다. 내 손주가 사용한 ‘굳이’ ‘심지어’ 등의 어휘는 자기 엄마나 유치원 선생님한테 들은 말 가운데 자기 말의 맥락에 맞추어서 사용했을 것이다. 이것도 일종의 ‘창조적 베끼기’가 아닐까.

얼마 전 페이스북에서 본 글이다. <훔쳐라, 아티스트처럼>에서 이 책의 저자 오스틴 클레온은 이렇게 말한다. “알다시피 예술 작품은 역사 속 수많은 선배와 동료의 작품에서, 그리고 주변에서 일어난 사건에서 영향받고, 영감을 얻으며, 도용하고, 슬쩍 베끼고, 똑같은 것을 다른 맥락에 놓고, 같은 것을 다르게 사용하며… 등의 행위와 함께 만들어진다. … 좋은 작품 하나에는 온갖 예술의 역사와 현재의 여러 요소와 징후들이 교집합을 이루며 가득 들어차 있다.”

이렇게 클레온의 글을 인용한 것은 평소에 내가 내 작품과 모든 예술작품은 다른 사람이나 작품들에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내 생각을 그대로 대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나는 내 작품의 원천을 다른 작품에서 ‘훔친다’는 생각을 한 적은 없다. 적어도 참조, 인용, 차용, 패러디, 몽타주, 크로스오버(혼성모방) 등의 전문적 용어를 빌려 ‘베끼기나 훔침’이라는 직설적 용어 대신에 ‘빌려 쓴다’고 생각해왔기 때문이다.

나의 그림그리기는 지금까지 ‘빌려쓰기’(인용)의 역사다.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 안견의 <몽유도원도> 같은 명화들로부터 조선 시대에 그려진 ‘민화’나 요즘 작가들의 작품(사진·만화 등 대중매체)에 이르기까지 시대와 공간을 뛰어넘는다.

한편 나의 글쓰기는 의외로 인용보다는 ‘창조’ 행위에 가깝다. 이야기를 중요시하는 나의 글쓰기는 동학농민혁명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림만으로는 이 거대한 동학농민혁명의 서사를 다 구현하지 못한다는 아쉬움 때문이었다. 그래서 처음으로 그림에다 보탠 글이 ‘말목장터 감나무 아래 아직도 서 있는…’이다. 그 전에도 칼럼이나 잡글을 종종 썼지만 내가 만든 글(이야기)에 빠져 10개의 그림과 거기에 덧붙인 10편의 글로 ‘백년의 기억’이라는 전시회까지 열었던 것이다.

나는 미술을 ‘사회적 영매’라고 말해왔는데 이는 주로 모든 신을 끌어들이는 ‘무’(巫), 즉 무당을 염두에 두고 한 말이다. 얼마 전에 타계한 김금화 만신의 ‘굿 제의’는 세상 만물(죽은 사람의 영혼까지)을 끌어당겨 접신한다. 미술가도 세상 모든 만물과 사건들과도 조우할 수밖에 없고 이를 어떤 방법으로라도 그림에 끌어들인다. 내가 미술을 ‘사회적 영매’라고 말하는 이유다.

이런 인용과 몽타주에서 스스로 공부를 게을리하지 않은 사람이 바로 발터 베냐민이다. 베냐민은 자기가 쓴 글을 인용해서 새로운 글쓰기를 수도 없이 시도했고 심지어 ‘인용으로만 만들어진 책’을 구상하기도 했다. 그는 ‘인간이 지닌 상위의 기능들 가운데 미메시스(자연의 모방능력)에 의해 결정적으로 규정되지 않는 기능은 없을 것이다’라며 인간이 지닌 모방적 속성으로 ‘인용’은 피할 수 없는 것으로 파악했다.

예술에서는 지구의 모든 것을 끌어다 쓸 수 있다. 반 고흐는 밀밭 위에 까마귀를 불러들여 자기의 죽음을 예감했고, 베냐민은 생수 전단지의 별 문양을 보고 ‘아우라’를 사유했는가 하면, 시인 김남주는 자기의 심장에서 피를 꺼내어 꽃 위에 뿌리고, 시인 안도현은 버려진 ‘연탄재’에서 시를 건져 올렸다. 예술은 세상의 모든 것들에서 영감을 얻는다. 그야말로 ‘예술 인력의 법칙’이다.

글쓰기와 그림그리기에서 인용이든 차용이든 또는 패러디든 몽타주든 이런 것들은 다 비유법에 해당한다. 쓰기와 그리기에서의 비유법은 자주 특수한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특히 거룩한 신의 영역을 묘사할 때 성경이나 불경처럼 전적으로 이런 비유를 등장시킨다. 그리스의 신화는 신의 세계 또는 인간의 세계를, 영웅들을 등장시켜 비유로써 드러낸다.

니체가 ‘신은 죽었다’고 선언한 이후에 근현대로 들어오면서, 특히 우리 사회엔 고대 신화의 세계와 달리 절대적 신의 영역(일종의 권력)을 ‘훔쳐다’ 자기의 욕망에 끌어들인 가짜 신화들이 판을 치고 있다. 권력이 만들어내는 가짜 신화들이며 일종의 우상화다. 예컨대 이승만과 박정희가 만들어낸 신화는 아직도 살아 있어 시시때때로 그들에게 불편한 사람들을 ‘빨갱이’로 내몰고 있다. 봉건적인 ‘남존여비와 가부장제’의 신화는 아직도 여성을 차별하고 한낱 성적 도구로 사용하기 일쑤다.

노동자를 착취해온 재벌기업들의 성장 신화가 있는가 하면 세계화를 앞세운 ‘신자유주의’의 신화가 우리의 삶을 옥죄고 있다. 미국이라는 강대국 신화는 아직도 우리를 분단의 사슬에 묶어 놓고 있다. 편견과 무지몽매에서 비롯된 ‘혐오’의 신화도 우리 사회를 위협하고 있다. 세월호 희생자들과 5·18에 대해 야만의 무리들이 내뱉는 폭언이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그들의 가짜 신화는 모두 가짜 뉴스나 정보의 조작으로 이루어졌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제 예술도 자기를 신화화하여 사회로부터 자폐되지 않았는가를 스스로 되돌아볼 때다. 그동안 얼마나 많은 예술가들이 사회와 현실에 벽을 쌓고 예술지상주의와 자본의 신화에 안주해왔는지는 작금의 우리 예술사를 돌아보면 쉽게 알 수 있는 일이다. 결국 예술은 잘못된 신화와 우상을 깨고 세상을 변혁시키는 것이 그 사회적 역할이기 때문이다. 그 이유로 해서 우리나라에는 ‘민중미술’이 탄생한 것이리라.

인류의 역사에서 주위의 도움 없이 살아온 사람이 있을까? 인류가 ‘협력’으로 진화해왔듯이 우리는 서로 끌어다 쓰고 빌려 오고 밀어주면서 살아왔다. 이것이 우리의 몸에 각인된 인류의 지혜다.

다만 예술가들은 남의 것을 빌려 쓰고 베끼더라도 ‘창조’를 담보로 해야지만 그것이 ‘도둑질’이 안 될 것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김정헌 칼럼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