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2.02 11:34 수정 : 2007.04.04 11:04

팔당역(중앙선). 등록문화재 제295호.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1939년 4월 1일 청량리~양평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해 1939년 4월 1일 목조 근대양식으로 건축.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물게 플랫폼 위에 철로와 같은 방향으로 지어진 일자형 건물로 폭이 좁고(3m) 길이가 긴(19m) 모양의 희소가치가 큰 역사이다. 팔당/강재훈선임기자 khan@hani.co.kr

근대의 질주, 간이역에서 쉼표 찍다 ①

<이순간>은 오늘의 이슈를 생생한 사진으로 독자여러분께 보여드리는 곳입니다. 지난 11월 종이신문에 새로 생긴 <이순간>은 한 장의 사진을 한 면에 꽉 채워 쓰는 방식과 여러 장의 사진으로 포토스토리를 꾸미기도 합니다. 많은 성원 바랍니다.

“철거냐 보전이냐 ”를 놓고 갈림길에 섰던 전국의 100여개 간이역 중 12개 간이역이 문화재로 등록돼 보전된다.

문화재청은 지난해 7월부터 9월까지 전국의 간이역 65곳을 대상으로 문헌조사와 전문가 현지조사를 벌여, 보존가치가 큰 12곳의 간이역을 문화재로 등록예고했다.

하지만 그 뒤 주민여론 수렴과 관계기관 협의 과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철도개량사업과 복선전철화공사 등의 이유로 철거와 보전의 논란이 팽팽하게 맞서왔다.

결국 문화재청은 팔당역 등 일부 역사는 현재의 위치에서 장소를 옮겨 보전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등 철도 개량사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간이역을 보전하기로 하고, 지난해 연말 12개의 간이역을 문화재로 등록 고시했다.

1894년 공무아문에 철도국을 설치한 이래 1899년 경인선(노량진~제물포) 개통으로 시작된 우리나라의 철도는 108년의 세월을 겪으며 꿈의 열차 KTX로까지 발전했다.

그 산증인인 전국의 100여개가 넘는 간이역들이 대부분 사라지고 경관과 보전가치가 빼어난 일부 역만 남게 됐다.

그리움과 기다림의 공간인 시골 간이역 중 문화재로 등록된 12개 간이역을 세 차례로 나눠 사진으로 만나본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팔당역(중앙선). 등록문화재 제295호.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1939년 4월 1일 청량리~양평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해 1939년 4월 1일 목조 근대양식으로 건축.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물게 플랫폼 위에 철로와 같은 방향으로 지어진 일자형 건물로 폭이 좁고(3m) 길이가 긴(19m) 모양의 희소가치가 큰 역사이다. 팔당/강재훈선임기자 khan@hani.co.kr

화랑대역(경춘선). 등록문화재 제300호. 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1939년 7월 25일 경춘선(성동~춘천) 개통과 함께 태릉역으로 영업 개시. 1958년 1월 1일 화랑대역으로 개칭. 1939년 7월 4일 목조 근대양식으로 건축. 비대칭삼각형을 강조한 이어내림지붕구조를 가진 희소성이 높은 역사다. 역 앞에 육군사관학교가 있고 육사에서 매년 화랑대역을 페인트 칠을 새로 하고 있어 외관이 눈에 띈다. 태릉/강재훈선임기자 khan@hani.co.kr

화랑대역(경춘선). 등록문화재 제300호. 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1939년 7월 25일 경춘선(성동~춘천) 개통과 함께 태릉역으로 영업 개시. 1958년 1월 1일 화랑대역으로 개칭. 1939년 7월 4일 목조 근대양식으로 건축. 비대칭삼각형을 강조한 이어내림지붕구조를 가진 희소성이 높은 역사다. 역 앞에 육군사관학교가 있고 육사에서 매년 화랑대역을 페인트 칠을 새로 하고 있어 외관이 눈에 띈다. 태릉/강재훈선임기자 khan@hani.co.kr

구둔역(중앙선). 등록문화재 제296호. 경기도 양평군 지제면 일신리. 1940년 4월 1일 목조 근대양식으로 건축. 1940년 4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개시해 1996년 1월 1일 승차권 차내 취급역으로 격하. 장방형 평면에 ‘T’자형 지붕평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들머리 부분은 맞배지붕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구둔/강재훈선임기자 khan@hani.co.kr

구둔역(중앙선). 등록문화재 제296호. 경기도 양평군 지제면 일신리. 1940년 4월 1일 목조 근대양식으로 건축. 1940년 4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개시해 1996년 1월 1일 승차권 차내 취급역으로 격하. 장방형 평면에 ‘T’자형 지붕평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들머리 부분은 맞배지붕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구둔/강재훈선임기자 khan@hani.co.kr

일산역(경의선). 등록문화재 제294호.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일산동. 1906년 4월 3일 경의선(용산~신의주)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해 1933년 10월 21일 현재의 목조 일본식 역사 준공. 지붕이 일자형 평면 위에 십자형 맞배지붕(지붕면이 양쪽 방향으로 경사진 ’八’자형 지붕)을 올려놓은 형태다. 일산/강재훈선임기자 khan@hani.co.kr

일산역(경의선). 등록문화재 제294호.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일산동. 1906년 4월 3일 경의선(용산~신의주)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해 1933년 10월 21일 현재의 목조 일본식 역사 준공. 지붕이 일자형 평면 위에 십자형 맞배지붕(지붕면이 양쪽 방향으로 경사진 ’八’자형 지붕)을 올려놓은 형태다. 일산/강재훈선임기자 khan@hani.co.kr

일산역(경의선). 등록문화재 제294호.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일산동. 1906년 4월 3일 경의선(용산~신의주)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해 1933년 10월 21일 현재의 목조 일본식 역사 준공. 지붕이 일자형 평면 위에 십자형 맞배지붕(지붕면이 양쪽 방향으로 경사진 ’八’자형 지붕)을 올려놓은 형태다. 일산/강재훈선임기자 kha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이순간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