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9.05.27 15:03
수정 : 2019.05.27 16:09
|
미궁에 빠진 살인사건 수사는 새 반장이 부임하면서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한다. 박두만(송강호·왼쪽)과 특별수사본부 형사들이 범행 현장을 살피고 있다.
|
[한겨레-CJ문화재단 공동기획]
⑥살인의 추억
감독 봉준호(2003년)
|
미궁에 빠진 살인사건 수사는 새 반장이 부임하면서 다시 활기를 띠기 시작한다. 박두만(송강호·왼쪽)과 특별수사본부 형사들이 범행 현장을 살피고 있다.
|
2000년대 초 이른바 ‘한국영화 르네상스’ 시기의 가장 중요한 성과는 새로운 세대의 감독들을 맞이했다는 점이다. 봉준호 감독은 그 중심에 있다. 그가 제기한 테마의 무게, 장르와의 긴장감, 드라마투르기의 면밀함, 스타일의 독창성 등은 분명 새로운 풍경이었다. <살인의 추억>은 봉준호 감독의 이 모든 미덕이 황금비율로 배합된 작품이다.
1980년대 남한 사회를 뒤흔든 연쇄살인 사건에서 출발한 영화는 처음엔 범죄 스릴러의 모양새로 전개된다. 한 농촌 마을에서 살인사건이 일어난다. 제대로 된 목격자도, 뚜렷한 증거도, 의심 가는 용의자도 없다. 과학수사 같은 건 존재하지 않았던 시절이다. 박두만(송강호)은 범인을 조작하려 하고, 서태윤(김상경)은 사건 서류에서 뭔가 단서를 찾으려 하고, 조용구(김뢰하)는 폭력으로 해결하려 한다. 하지만 범인은 거대한 암흑처럼 실체를 파악할 수 없다. 박현규(박해일)라는 용의자로 초점이 맞춰지지만 결국 터널의 어둠 속으로 사라진다.
|
‘감’을 바탕으로 수사를 하는 시골 형사 박두만(송강호)과 ‘과학수사’를 지향하는 서울내기 형사 서태윤(김상경)은 수사를 하는 내내 사사건건 의견이 엇갈리고 부딪친다.
|
<살인의 추억>은 실패담이다. 여기서 영화는 “왜 범인을 잡지 못했는가”라고 묻지 않는다. 대신 “왜 범인을 잡지 못하는 시대였는가”라고 묻는다. 이 질문을 통해 <살인의 추억>은 장르 영화에서 벗어나 시대의 공기를 포착한다. 폭력과 야만의 시절. 공권력은 데모 진압에 집중되고, 동원된 학생들은 길거리에서 태극기를 흔들며, 마치 범죄를 조장이라도 하듯 등화관제를 하던 시기. 이 영화는 범인을 잡는 형사들의 배경에 ‘1980년대’를 전시하면서 결국 그 시대의 시스템이 모든 것의 원인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방식은 그의 영화를 관통하는 방법론이다. 봉준호의 영화 속에선 항상 가족 혹은 공동체가 파괴되거나 억압을 받고, 그의 영화는 그 가해자를 찾아가는 과정이다. 그 결론은 아이러니의 상황에 봉착하거나 통렬한 뒷맛을 남기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 과정에서 제시되는 풍경과 디테일들이다. 그런 의미에서 <살인의 추억>은 ‘봉준호표 영화’의 본격적 시작이며, 한편으론 한국 장르 영화의 진일보한 성취다.
김형석/영화평론가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