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9.12 09:19 수정 : 2019.09.12 09:27

[한겨레-CJ문화재단 공동기획]
61)시집가는 날
감독 이병일(1956년)

희곡 ‘맹 진사댁 경사’를 영화로 만든 <시집가는 날>은 혼인을 통한 신분상승을 꾀하려는 ‘맹 진사’를 통해 상류층의 허위를 드러낸다.
1944년에 쓰인 오영진의 원작 <맹 진사댁 경사>를 영화화한 작품이다. 이병일(1956), 이용민(1962), 그리고 김응천(1977) 감독에 의해 총 세차례 영화화되었으며 소개할 버전은 이병일 감독의 작품이다.

맹 진사(김승호 분)는 무남독녀 외동딸, 갑분이를 김 판서의 아들 미언(최현)에게 시집을 보내 세도가의 사돈이 되려고 추진 중이다. 결국 혼인 날짜가 잡히고 맹 진사는 혼인으로 얻게 될 부와 명예로 연일 싱글벙글하다. 그러던 어느 날, 맹 진사의 집에서 묵어간 한 선비는 미언이 절름발이라는 말을 흘린다. 사위감을 보지도 않고 재물에 눈이 멀어 딸을 주기로 한 맹 진사는 이제 와서 안절부절못한다. 재물도 혼인도 포기하지 못하는 그는 꾀를 내어 딸의 몸종 입분이(조미령)을 대신 시집보내기로 한다. 그러나 혼인 당일 나타난 미언은 절름발이가 아닌 멀쩡한 몸에 미남이기까지 하다. 맹 진사는 울분을 터뜨리지만 이미 시간이 되어 입분이는 갑분이 대신 식을 올린다. 첫날밤, 입분이는 미안한 마음에 모든 것을 고백하고 돌아가려 하지만 미언은 자신이 사돈댁을 시험해본 것이고 예쁜 마음의 아가씨를 만났다며 더 좋아한다.

양반 갑분이 대신 마음 착한 여종 입분이가 멋진 신랑감을 얻게 된다는 설정은 권선징악의 단순한 줄거리지만 ‘계급 전복’이라는 진보적 색채도 띠고 있다.
입꼬리가 올라가지 않을 수 없는 훈훈한, 구전동화 같은 이야기다. 영화는 대부분의 동화가 가지고 있는 전통적인 권선징악 플롯만큼이나 판형적이고 고전적인 이미지들을 보여준다. 한국 영화 산업이 막 윤곽을 드러내던 시기에 제작된 영화이니만큼, 영화의 이미지는 단출하고 간소하지만 대사로 드러나는 영화의 화두는 단조롭지 않다. 영화의 메인 캐릭터는 맹 진사지만 영화에서 가장 많이 할애되는 장면들은 종들이 모여 나누는 대화 신이다. 그들이 모여 양반을, 혹은 제도적 병폐를 흉보는 대화 장면들은 시종일관 유쾌하고 도발적이다. 궁극적으로 영화의 말미에선 맹 진사나 갑분이가 아닌 하층민, 입분이를 통해 계급의 전복이 이뤄지기도 한다. <시집가는 날>에서 보이는 결혼과 계급, 여성에 대한 화두는 비슷하게 결혼에 대한 주제를 다루지만 5년 뒤에 개봉하는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와 비교해 훨씬 더 진보적이고 혁명적이다.

김효정/영화평론가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한국영화 100년, 한국영화 100선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