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3.11.18 19:02 수정 : 2013.11.18 19:02

권태선 편집인

김추령 교사는 혁신학교인 서울 삼각산고 1학년 부장이다. 그에게는 야근을 밥 먹듯이 해야 하는 지금이 교사 생활 26년 중 가장 행복한 시절이다.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는 다양한 수업을 맘껏 해보고 구조화된 차별 속에서 신음하는 아이들을 돕는 활동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장·교감 선생님의 전폭적 지원 아래 이 학교 교사들은 프로젝트 수업, 팀 교습 등 아이들의 학습 흥미를 높일 수 있는 각종 방안을 도입했다. 그 결과 아이들의 학습주도력이 높아졌다. 주요 과목 학력평가에서 같은 지역 자사고보다 높은 성적을 낼 정도로 학력도 신장됐다. 기초수급자 비율이 25%가 넘는 열악한 환경에서 얻은 놀라운 결과다.

학교 부적응아 문제에도 새롭게 접근했다. 지난해 신입생 가운데는 폭력적 성향이 있는 아이들이 몇 있었다. 이들의 가정환경을 조사하면서 김 교사는 하나같이 사랑을 못 받고 자라 분노 덩어리가 됐음을 알게 됐다. 이들을 방치하면 커서 흉악범죄를 저지르는 사람이 될지도 모를 일이었다. 그는 후배 교사와 힘을 합쳐 이 아이들을 위한 특별활동반 ‘나다’를 조직했다. 춤·연극·기 치료 등으로 아이들의 마음을 열어갔고 학년 말에는 어렵사리 공개 연극공연도 했다. 아이들이 훗날 폭력을 휘두를 상황에서 여기서 사랑 받았던 기억을 되살려 참게 된다면, 그것이야말로 사회에 대한 교사의 기여일 것이란 믿음에서였다. 그의 사랑이 통했는지, 아이들 가운데 일부는 자격증을 따기 위한 공부를 하는 등 변하기 시작했다.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김 교사는 이제 2기 나다반을 꾸릴 계획이다.

그런데 교육개발원이 최근 내놓은 ‘서울형 혁신학교 평가연구보고서’가 골치다. 혁신학교가 모든 분야에서 일반학교에 뒤진다는 이 연구 결과를 근거로 문용린 교육감은 혁신학교 예산을 대폭 줄이려 한다. 그러나 보고서를 보면 한국의 대표 교육연구기관의 이름이 부끄러울 지경이다. 평가등급을 A, B, C, 세 등급으로 나누면서 그 준거를 밝히지도 못했다. 혁신학교 지정 3개월 후에 치러진 학력고사 성적을 가지고 혁신학교의 학력 향상도가 떨어진다는 황당한 결론을 내놓기도 했다. 더군다나 혁신학교들이 주로 교육낙후지역에 있는 까닭에 불리할 수밖에 없는 기초체력 미달자 비율 따위를 평가의 주요 지표로 삼았다. 혁신학교 예산을 깎겠다는 시 교육청이 이 엉터리 연구에 지급한 돈은 1억원이나 된다.

도대체 왜 이런 일들이 벌어지는가. 박근혜 대통령은 어제 시정연설에서 “정치가 존재하는 이유는 국민의 고통과 어려움을 해결하고, 국민에게 행복을 드리는 데 있다”고 했다. 맞는 말이다. 그래서 이 정권은 교육의 목표도 행복교육으로 삼았을 터다. 문 교육감도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이 정권이나 서울 교육청은 혁신학교의 성과를 수용하고 더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게 마땅하다. 일반학교에 비해 혁신학교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들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은 개발원의 이번 엉터리 조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조사는 물론이고 혁신학교 주변의 들썩이는 집값을 통해서도 확인된 바 있으니 말이다. 그런데 현실은 거꾸로다. 이 정권과 서울 교육청은 혁신학교를 깎아내리기에 여념이 없다. 혁신교육이 이른바 진보교육감의 정책인 까닭이다. 겉으로는 국민행복, 행복교육을 말하지만 실제로는 국민의 행복 따위는 안중에도 없는 것이다.

집권세력의 이런 속좁은 행태를 보면서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메르켈은 유로화 위기 속에서도 독일 경제를 안정적으로 이끌어, 독일을 명실상부한 유럽의 중심국으로 부상시켰다. 독일의 이런 성공은 기민당 소속인 메르켈이 사민당의 정책이었던 ‘의제 2010’을 그대로 이어받아 위기에 대한 대응력을 키웠기에 가능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녹색당의 반원전 정책을 과감하게 수용한 것도 메르켈이었다. 이렇게 당파성에 치우치지 않고, 오로지 국민의 행복 편에서 좌우의 정책을 과감하게 받아들이는 용기를 보였기에 그는 압도적 지지로 3선의 위업을 달성할 수 있었다. 우리 정치, 우리 교육에선 언제나 이런 모습을 볼 수 있을까?

권태선 편집인 kwonts@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권태선 칼럼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