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3년 4월22일 미국 국무부의 피터 타노프 차관(왼쪽)이 청와대를 방문해 김영삼 대통령에게 인사를 하고 있다. 그는 이때 북-미 일괄타결 해법을 처음 언급했으나 김 대통령과 참모들은 주목하지 않았다.
|
한완상 비망록-햇볕 따라 평화 따라 24
1993년 4월22일 오후 통일원을 예방한 피터 타노프 미 국무차관과의 대화는 약 한시간 동안 진지하게 이뤄졌다. 그는 “미국과 한국은 북한 문제에 관한 한 같은 배를 탄 운명이므로 말씀하신 점을 늘 유념하겠다”고 마무리를 했다. 나 역시 마지막으로 꼭 하고 싶었던 얘기를 했다. “한국은 북한과 더 가까이 있다는 점에서 미국과 다르다는 점도 유념해주시길 바랍니다. 무엇보다 한국은 현재 민주적 정통성이 있는 새로운 정부를 출범시켰습니다. 지난날과 달리 우리는 모든 점에서 떳떳하고 자신감에 차 있습니다. 과거 정통성에 문제가 있었던 때는 미국에 저자세를 취하기도 했지요. 그러나 이제는 그러한 일이 없을 것이며 진정한 의미에서 한-미 동반자적 협력을 해나갈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집무실을 나서면서 타노프는 내게 지나가는 말처럼 ‘북한과의 일괄타결(패키지 딜) 해법을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다시 물었다. 그 무렵 미 국무부는 북한과 일괄타결 방안을 검토하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 정부 안에서는 이 문제를 진지하게 검토하는 사람이나 부처가 없었다. 김영삼 대통령 주변의 보수인사들은 일괄타결을 체질적으로 싫어하는 듯했다. 북한은 채찍으로 당차게 옥죄어야 하는데, 북한과 주고받을 것을 협상 테이블에 한꺼번에 다 올려놓고 흥정한다는 것을 이념적으로나 정서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 같았다. 김 대통령 역시 일괄타결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않는 듯했다. 만일 미국이 북한과 화끈하게 포괄적 협상을 하려 한다면, 그것도 한국 정부를 제쳐놓고 협상하려 한다면, 보수인사들은 절대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펄쩍 뛰며 분개할 것이고 이들이 대통령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지 쉽게 짐작할 수 있었다. 나는 그만큼 염려가 되기도 했다. 이런 때일수록 김 대통령이 취임사의 초지와 초심으로 돌아가 북한을 껴안는 큰 마음으로 북-미 일괄타결을 미국보다 먼저 지지하면서 북-미 대화를 권고한다면 조금 더 쉽게 핵문제를 풀 수도 있을 거라고 판단했다. 그렇게 대범한 제의를 한다면 북-미 모두 받아들일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미국은 한국 정부의 눈치를 보지 않고 북-미 대화를 펼쳐나갈 수 있고, 북한은 우리 새 정부의 대북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마음을 열 수도 있을 터였다. 새 정부는 권력 정통성을 갖춘 만큼 북-미 대화가 성공적으로 나아가도록 격려하는 포용정책을 더 자신있게 펼쳐야 했다. 그런데 현실은 정반대로 흘러가는 듯하여 마음이 편치 않았다. 타노프 차관은 다음날 한국을 떠나며 기자회견을 했다. 하지만 북-미 일괄타결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아마도 한국 보수세력의 정서를 의식했던 것 같다. 북-미 고위급 회담에 대해서는 언제 열릴지 모르지만, 열리게 된다면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선언이 발효되는 시점이 6월12일이 될 것임을 북쪽에 강조하겠다고 했다. 북-미 관계 개선은 조약 탈퇴선언 철회와 함께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핵사찰을 수용해야 가능하다고 했다. 그리고 북-미 회담은 어디까지나 유엔과 원자력기구에서 북한 핵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보완적 성격을 갖게 될 거라고 덧붙였다. 이 역시 한국의 보수세력을 의식한 발언으로 들렸다.
|
한완상 전 부총리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