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8월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소강당에서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준비위원회’ 결성식이 열려 상임준비위원들(왼쪽부터 오자복·한광옥·이창복·이우정·강문규)이 인사하고 있다. 그러나 그해 ‘8·15 민족통일대축전’은 참가 단체 범위를 둘러싼 이견으로 남과 북에서 따로 열렸다. 한겨레 자료사진
|
한완상 비망록-햇볕 따라 평화 따라 122
1998년 7월1일 ‘8·15 민족통일대축전’ 개최 준비를 협의하기 위해 참으로 오랜만에 옛 재야 민주인사들이 함께 모였다. 성공회 성당 회의실에서 강만길·이우정·구중서·김중배·이창복 선생과 김상근 목사 그리고 조성우 민화협 집행위원장이 모였다. 7월4일 남쪽 준비위원회 결성식 때 나는 김대중 대통령의 축하 메시지가 꼭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김상근 목사가 청와대에 타진해보기로 했다. 7월3일에는 이튿날 발족할 남쪽 준비위원회에 대한 폭넓은 시민의 참여와 지지 방안을 논의하고자 방송대 내 집무실에서 공동대표자 회의를 했다. 중도보수 이미지의 원로인 서영훈 선생과 이영덕 전 총리의 참여를 설득하기로 했다. 또 정부와 조율하는 게 좋겠다고 해서 내가 직접 임동원 외교안보수석에게 전화를 걸어 협조를 부탁했다. 그날 오후 이 전 총리에게 제안을 했더니, 그는 정부와 협의해서 결정하겠다고 했다. 30분쯤 뒤 다시 전화한 그는 강인덕 통일부 장관과 의논해보니 7월6일 열릴 4당과 8개 시민단체 대표의 간담회 이전에는 남쪽 준비위 공동위원장 자리를 수락하기가 곤란하다고 했다. 그 얼마 뒤 서 선생도 전화로, 강 장관의 뜻에 따라, 약속했던 내일 회의에 참석할 수 없겠다고 한다. 나는 퍽 언짢았다. 과연 통일부 장관이 청와대의 뜻, 특히 김 대통령의 뜻을 제대로 이해하고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 궁금했다. 디제이피 체제가 주는 불안감을 또 한번 떨쳐버릴 수가 없구나. 통일부는 먼저 북쪽의 진행과정을 살펴가며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북한 당국은 민족화해협의회 산하에 8·15 민족대축전을 위한 준비위원회를 두는 듯하다. 우리도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를 먼저 구성해 그 아래 8·15 축전 준비위를 두려는 것 같다. 민화협은 정당과 시민단체 대표자들을 포함시키는 범국민적 조직으로 만든다고 한다. 그런데 통일부는 준비위의 공동대표자들이 내일 모여 북쪽에 남북간 준비위 회담을 먼저 제의할까봐 신경을 쓰는 것 같다. 특히 중앙정보부의 핵심 간부 출신인 강 장관은 임동원 수석과 코드가 잘 맞지 않는 눈치다. 그날 오후 명사들의 초상화 전시회에 내 그림도 있다고 해서 들렀다가 설훈 의원을 만났더니 무척 흥미로운 얘기를 했다. “북쪽은 남한의 보수우파 가운데 돈 많은 사람들과 대화하려고 하지, 운동권이나 재야와의 대화에는 별로 관심이 없습니다.” 사실 그럴 것이다. 나 역시 그의 관찰이 틀렸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이런 미묘한 시점에 재야의 중심에 섰던 설 의원까지 그런 냉소적인 촌평을 계속한다면, 이번 8·15 축전을 통해서 남북관계를 개선하려 애쓰는 민주세력에게 찬물을 끼얹는 결과가 되지 않을까 염려된다.
한완상 전 부총리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