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길 국제부 선임기자
|
[토요판] 다음주의 질문
“어이, 블레어”라며, 아랫사람을 부르는 듯 말을 꺼냈다. 2006년 7월17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주요 8개국 정상회의에서 조지 부시 당시 미국 대통령은 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에게 외교 현안이던 레바논 전쟁의 해법을 놓고 ‘격의없는’ 대화를 나눴다. 괄호 안은 두 정상이 말하려는 의도를 직설적으로 풀이한 것이다. 부시: 코피는 어때? 휴전이나 다른 것들에 대한 그 사람 태도란…(당신이랑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이 레바논에 평화유지군를 파병해야 한다는 말도 안 되는 소릴 했다며?) 블레어: 이 국제적 사안에 합의를 이끌어내지 않으면 전쟁을 끝낼 수 없을 겁니다(평화유지군을 보내야 합니다!). 부시: 글쎄…(말도 안 되는 소리 하지 마!). 블레어: 내가 현재 상황이 어떤지를 한번 봤으면 아주 좋겠어요. 빨리 이뤄지지 않으면 일이 꼬일 것이라고 당신도 말했잖아요.(내가 중동에 가는 걸 허락해줘요!) 부시: 콘디가 곧 갈 거야.(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이 가는데 당신까지 나설 필요는 없잖아?) 블레어: 그러나 적어도 사람들한테는 뭔가를 줘야 할 텐데…(다시 한번 생각해주세요). 부시: 그건 절차인데…, 콘디에게 당신의 제안을 말했어요.(콘디가 할 거야). 블레어: 콘디가 뭔가 준비가 필요하다면, 거기 가서 성공한다면 한편으로 나도 거기 가서 얘기할 수 있을 텐데…(나도 한몫 거들 수 있는데). 부시: 당신도 알다시피…해야 할 일은 시리아가 헤즈볼라에게 이 빌어먹을 일을 중단시키는 것이야, 그럼 일은 끝이야.(시리아 놈들의 멱살을 잡아 헤즈볼라 놈들의 테러를 그만두게 하면 끝날 일인데, 무슨 놈의 평화유지군이야!) 이 대화는 본 회의에 앞서 두 정상이 개인적으로 나눈 것이다. 마이크가 켜져 있어서 언론에 누출됐다. ‘비굴’과 ‘굴종’이 난무하는 대화였다. ‘부시의 푸들’이라는 블레어의 모습을, 영국은 미국의 허락 없이는 국제외교에서 몫이 없음을 보여줬다. 영국 여론은 그냥 가십거리로 치부했다. 두 나라 관계의 현실이었기 때문이다. 영국은 이렇게 해서라도 중동에서 자신들의 위상을 챙겨야 했다.
|
국가정보원의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발췌본 공개를 외국 정상들은 어떻게 바라볼까. 27일 오후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베이징 인민대회당 회동. 베이징/청와대사진기자단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