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판] 르포
더불어민주당 자치단체장들의 도전
▶ 시장이나 군수, 구청장 등 자치단체장들은 정치인이라기보다는 주민들의 살림을 돌보는 행정가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고정관념이라며 반기를 드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의 당내 모임인 ‘자치분권민주지도자회의' 소속 단체장들이 그들입니다. 이들은 지금껏 여의도 국회의원들이 차지했던 최고위원과 시도당위원장을 자신들도 하겠다며 도전장을 던졌습니다. 이들의 목표가 뭔지, 뜻이 이뤄지고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19일 충남 공주의 교통연수원 강당은 후끈 달아올랐다. 막바지 무더위도 기승을 부렸지만, 이곳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충남 지역 합동연설회 분위기는 유독 뜨거웠다. 김상곤, 이종걸, 추미애 등 당 대표 후보들의 연설 대결도 팽팽히 진행됐으나, 이날 연설회장을 달군 것은 2부의 충남도당위원장 경선이었다. 도당위원장 자리를 놓고 박완주 후보(재선의원·천안을)와 나소열 후보(보령·서천 지역위원장)가 맞붙었다. 충남 현역 의원들은 원내수석부대표를 맡고 있는 박 의원으로 합의 추대하기를 바랐지만, 나 위원장이 출마를 고집하면서 경선이 불가피했다.
먼저 연설에 나선 나 후보는 “변화의 바람이 제주와 경남, 경북에서 불고 있다”며 원외의 지역위원장이 현역 의원을 잇따라 이기고 있는 현상을 지적한 뒤 “이는 판을 바꿔라, 변방의 목소리를 들어라, 여의도정치를 뛰어넘으라는 당원들의 목소리”라고 말했다. 이어 단상에 오른 박 후보는 “내년 대선에서 실패하면 당의 존재 가치가 허물어질 것”이라며 “충남도당을 정권교체의 태풍 진원지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날 대의원 투표 결과 박 후보가 54%를 얻어, 나 후보(46%)를 이겼다.
19일 충남 공주시 충남교통연수원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충남도당위원장 경선에 출마한 박완주(왼쪽 둘째), 나소열(셋째) 후보가 안희정 충남도지사(맨 왼쪽), 양승조 의원(맨 오른쪽)과 함께 손을 맞잡고 대의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투표 결과 박 후보가 충남도당위원장에 선출됐다.
|
19일 충남 공주시 충남교통연수원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충남지역 합동연설회에서 당 대표 경선에 출마한 김상곤(오른쪽부터), 이종걸, 추미애 후보가 나란히 앉아 부문별 최고위원 후보들의 연설을 듣고 있다.
|
기초단체장 3명 도전 나섰으나
광주·충남 패배로 갈길 멀어
시도당위원장 중 5명은
호선으로 최고위원 겸직 지방정치인 당내 세력화 가속
당 대표 선거에도 영향력 발휘
“서울·중앙 정치 깨야” 목소리
지방 분권화 방향엔 긍정하나
“실질적 분권이 중요” 지적도 자치단체장들의 당 지도부 도전은 자신들의 표현대로 서울 중심의 중앙정치에 대한 지방의 거부 내지는 반란이라고 할 수 있다. 여의도 국회의원이 독점했던 정치를 지역 정치인도 공유하자는 요구이다. 지방분권 활동에 오랫동안 관여해온 정창교 서울 관악구 정책실장은 “무상급식이나 청년 수당 지급 등 우리 사회의 주요한 이슈들은 경기도교육감과 서울시장, 성남시장 등 지방자치단체에서 먼저 제기했던 것”이라며 “여의도 정치는 이제 지방으로 눈을 돌리고 이들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민형배 광주 광산구청장도 <한겨레>와의 인터뷰(상자기사 참조)에서 “서울 중심의 권한 집중을 깨지 않고는 우리 사회가 앞으로 나아갈 수 없다”고 밝혔다. 현역 의원과 갈등 소지는 숙제 중앙정치에 대한 지방의 도전은 지방자치제 실시가 20년을 넘어가면서 지방의 힘이 그만큼 커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최광웅 데이터정치연구소장은 “프랑스는 연속 3명의 대통령이 풀뿌리 경험자들이 뽑히는 등 지역정치가 변방은커녕 오히려 중앙무대의 힘이 되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는 아직도 국회의원이나 지방자치 선거 때 낙하산 공천이 횡행하는 등 서울과 중앙 위주의 정치를 하고 있다”며 “이제 우리도 지방에서 성장한 정치인들이 정치적 목소리를 낼 때가 됐다”고 말했다. 최 소장은 “20대 총선 당선자만 보더라도 새누리당은 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 출신이 29명이 나왔다”며 “더민주당은 123명 당선자 중에 15명에 불과하지만 갈수록 이들의 참여 요구가 커질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지역 목소리를 반영하는 것과 단체장의 중앙당 진출은 별개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중앙당의 한 주요 당직자는 “단체장들이 당 운영에 많이 참여하도록 해서 지역의 의견을 반영하는 구조를 갖추는 것은 바람직하다”면서도 “그러나 단체장들의 중앙당 진출은 시너지 효과보다는 자칫 잠재적 경쟁자인 현역 의원이나 지역위원장들과의 갈등을 키울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강원택 서울대 교수(정치학과)는 “지역의 목소리를 많이 반영하는 등의 분권화로 가는 것은 맞다”면서도 “그러나 단체장이 최고위원이 되느냐 여부보다는 실질적 의미에서 권한이 배분되고 정당 하부조직의 자율성이 보장되는지가 분권화 진전을 위해서는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공주/글·사진 김종철 선임기자 phillkim@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