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앞줄 왼쪽)과 위원들이 지난 15일 밤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사에서 20대 총선 제7차 공천 명단을 발표하기 위해 회견장에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
김보일(배문고 국어교사)
|
[한겨레 사설] ‘청와대 꼭두각시‘ 이한구 위원장의 막장 공천극
곪을 대로 곪은 새누리당 ‘공천 갈등’이 끝내 터져버렸다. 공천관리위원인 황진하 사무총장과 홍문표 제1사무부총장이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의 독선을 문제 삼아 공천심사 활동을 중단해 버렸다. 공천관리위원장과 당의 사무총장이 대놓고 싸우는 희한한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총선을 불과 한 달 남겨 놓고 이전투구에만 골몰하는 집권여당의 모습에 할 말을 잃을 지경이다. 제 앞가림도 못 하는 이런 당에 과연 나라의 앞날을 맡겨도 좋은지 의문이 든다.
새누리당의 내부 다툼이 좋은 후보를 뽑기 위한 진통이라면 그나마 이해할 구석이 있다. 하지만 지금의 양상은 국민·당원의 뜻을 공천에 반영하는 것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 단지 이한구 위원장이 청와대·친박의 의도대로 비박계를 쳐내려 한다는 의구심이 갈등의 핵심일 뿐이다. 한심하기 이를 데 없고, 퇴행도 이런 퇴행이 없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른 책임은 공천관리위원장인 이한구씨에게 있다. 충돌의 직접 계기는 김무성 대표 지역구를 경선 명단에 포함할지 여부였다고 한다. 황진하 총장은 대표 위상을 고려해 빨리 경선 명단에 포함해 달라고 요구했지만, 이한구 위원장이 거부했다. 대표를 비롯한 최고위원 공천 심사는 맨 마지막에 하기로 정했기 때문이란 게 이유였다. 하지만 최고위원 중에서도 지명직인 이정현 의원과 원유철 원내대표 공천을 이미 확정한 걸 고려하면, 김 대표의 명단 확정을 뒤로 미룬 건 일부러 대표를 골탕먹이려는 의도라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
지금 당내엔 이한구 위원장이 청와대 입김에 휘둘려 박근혜 대통령 눈 밖에 난 비박계 인사들을 쳐내려 한다는 의구심이 파다하다. 이 위원장과 현기환 청와대 정무수석이 만났다는 설이 나돌고, 친박 핵심인 윤상현 의원의 막말 파문에 대한 조처가 미지근하다는 비판도 비등한다. 윤상현 의원이 ‘김무성 대표의 공천 탈락’을 전화로 협의한 현역 의원이 누군지 밝혀내는 건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닐 텐데, 이런 조사는 제대로 진행되질 않는다. 그러니 모두들 이한구 위원장의 공정성을 의심하고 그를 믿지 않는다.
새누리당 공천 작업의 신뢰는 이미 땅에 떨어져 버렸다. 이한구 위원장은 책임을 지고 물러나는 게 마땅하다. 또한 대통령과 청와대는 여당 공천을 자기 뜻대로 관철하려는 욕심을 버려야 한다. 언제까지 진흙탕 싸움을 국민과 당원들에게 지켜보도록 할 셈인가.
[중앙일보 사설] 새누리 ‘패권 공천’ 이한구가 책임져라
새누리당의 공천 파행이 점입가경이다. 어제는 공천관리위 주요 멤버인 황진하 사무총장, 홍문표 사무부총장이 회의를 보이콧했다. 이한구 위원장의 독선적인 운영이 도를 넘어섰다는 것이다. 그런 가운데 이 위원장은 일방적으로 3차공천자 명단을 발표해 버렸다. 발표된 내용은 더불어민주당의 친노 패권, 운동권 세력의 청산같이 시대정신을 담아내는 기운도 현역 의원들의 탈락 같은 기득권 물갈이의 쾌감도 없었다. 그 전엔 위원회가 만장일치로 김무성 대표의 선거구(부산 중-영도)가 포함된 경선 지역 32곳을 확정했으나 이한구 위원장이 발표 직전 김 대표 지역만 빼는 독단을 저질렀다. 이 위원장은 처음엔 살생부 논란에 얽혀 있는 다른 당사자들과 형평을 맞추기 위해 제외했다고 하더니 그 다음엔 다른 최고위원들과 함께 발표하려고 한 것이라고 말을 바꿨다. 절차와 합의를 외면한 데다 평소 이 위원장의 장점으로 평가되는 소신과 명쾌함마저 실종된 궁색한 변명이다.
그는 또 이른바 친박과 비박 세력의 계파 갈등으로 어느 때보다 중립성에 유의해야 할 민감한 시점에 청와대의 현기환 정무수석과 만났다는 구설에 올랐다. 이 위원장은 현 수석과의 만남을 부인하면서도 “나는 누구라도 만날 수 있다. 대통령이라고 만나면 안 되겠느냐”고 해 의문을 증폭시켰다.
이 위원장은 1차공천자 발표 때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위원회의 독립성을 훼손할 우려가 있으니 더 이상 나를 부르지 말라”고 큰소리 쳤다. 독립성을 이유로 당 최고기관의 정당한 호출 권한까지 무시한 이 위원장이 대통령·청와대에 대해선 다른 생각을 갖고 있으니 그의 이중적 의식이 문제 되는 것이다. 이 위원장은 지금 공천관리자로서 공정성 의심과 신뢰성 위기를 동시에 맞고 있다. 정당의 공천은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의 충원 방식과 다르다. 국익과 공공성을 기준으로 이뤄져야 한다. 정당 간 경쟁, 계파 간 권력다툼을 인정한다 해도 큰 틀에서 고도의 공익성 범위를 일탈해선 안 된다. 그런데 지금 새누리당의 행태는 권력의 자리를 추구하고, 제1당의 오만에 취하고, 야권 분열에 방심해 칼자루를 쥔 세력은 무슨 일을 해도 괜찮다는 패권의식에 사로잡혀 있다. 패권의식은 패권공천을 낳는다.
피 튀기는 공천 현장에서 공천위원장이 어느 정도 독단적인 모습을 보이는 건 불가피하다. 그러나 지금 이 위원장은 봐줄 수 있는 선을 넘었다. 무슨 ‘보이지 않는 손’의 지침과 작용을 의심할 정도로 그는 강박적인 면까지 보이고 있다. 김무성 대표의 공천 발표를 끝까지 미루는 이유가 김 대표를 욕설한 윤상현 의원을 살리기 위한 교환 용도라는 분석이 나오는 지경이다. 이런 의문이 해소되지 않으면 이 위원장의 공천관리는 박근혜 대통령이나 청와대가 주도하는 ‘친박을 위한 공천’에 불과하다는 소리를 들을 것이다. 이 위원장은 공천관리위를 정상화시키고 청와대나 친박 사람들에 대한 언행을 주의시켜야 한다. “집권당이 패권공천한다”는 소리를 듣지 않게 할 가장 큰 책임은 이한구 위원장에게 있다.
[추천 도서]
[키워드로 보는 사설] 공천(公薦) ‘공천’이란 정당이 공직선거후보자를 추천하는 것을 말한다. 즉, 정당에서 대통령선거나 국회의원선거에 출마할 후보자를 추천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정당들은 당선 가능성, 개혁성, 당의 기여도 등의 공천심사 기준을 정하고 공천심사위원회를 구성한 후 비공개적인 심사과정을 거쳐 공천자 명단을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보통 당 대표나 지도부의 뜻이 그대로 반영돼 지도부나 대표를 중심으로 공천권이 집중된 ‘하향식’ 공천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각 정당의 공천 절차가 시작되면 당원과 국민들이 참여하는 경선을 통해서 후보자를 정하는 ‘상향식’ 공천제도를 도입하자는 주장이 자주 제기되고 있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