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06.19 15:24 수정 : 2015.06.23 16:02

소설가 신경숙씨

[토요판] 이승한의 술탄 오브 더 티브이

16일 소설가 이응준은 <허핑턴 포스트 코리아> 기고문 ‘우상의 어둠, 문학의 타락-신경숙의 미시마 유키오 표절’을 통해 신경숙의 <전설>은 미시마 유키오의 <우국>의 표절작이며, 문화권력이 된 신경숙에게 문제 제기를 하지 않고 침묵을 유지한 한국 문단은 공범으로 전락했노라 비판했다. 이미 15년 전 문학평론가 정문순 또한 <전설>이 <우국>의 명백한 표절작이란 비판을 <문예중앙>에 실었다는 사실도 재조명되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폭발적인 유행어가 되어버린 “기쁨을 아는 몸”을 비롯한 몇몇 문장들은 문학에 문외한인 내가 봐도 복사기를 돌린 것처럼 유사하나, 상세한 논의들은 일 핑계로 오랫동안 책을 멀리한 내 것이 아니라 꾸준히 책을 가까이한 다독가들의 몫일 테니 말을 아끼겠다. 다만 신경숙과 출판사 창비의 반응이 어디서 많이 들어봤던 것들이란 점에 대해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표절 시비와 모방을 변명하는 유구한 전통만큼은 텔레비전이 선배이기 때문이다.

표절 시비와 모방을 변명하는
유구한 전통만큼은 텔레비전이 선배다

불과 십수년 전만 해도
흔한 답안은 “본 적이 없다” 였다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텔레비전 피디들이 일본에 ‘출장’을 다녀오는 일은 드문 일이 아니었다. 일본 텔레비전 개편철에 맞춰, 현지 여관방 하나 잡아놓고 리모컨을 돌려가며 일본 프로그램의 내용을 꼼꼼하게 메모해 돌아오는 일을 ‘출장’이라 불렀던 것이다. 해외여행 자유화가 시행되기 전인 70~80년대라고 상황이 다르진 않았다. 그저 출장지가 일본 전파가 잡히는 부산이었을 뿐. 심지어 일본 문화를 안방에서 접하는 게 가능해져 시청자들 또한 일본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진 21세기에 들어서도 표절 의혹은 줄어들지 않았다. 일본 티비에스(TBS)로부터 자사의 <행복한 가족계획>을 표절했다는 항의를 들은 에스비에스 <특명! 아빠의 도전>(1997~2005), 후지티브이의 <트리비아의 샘>와 비슷하다는 네티즌들의 질타에 포맷 참조를 시인하면서도 차이점을 강조했던 한국방송 <스펀지>(2003~2012), 일본 만화 원작 드라마 후지티브이 <라이어 게임>(2007)과의 표절 시비가 붙었던 티브이엔 게임쇼 <더 지니어스> 시리즈(2013~)까지. 어디 일본뿐이겠는가. 미국 엔비시(NBC) 시트콤 <프렌즈>(1994~2004)의 인물 구도를 고스란히 따온 문화방송 <남자 셋 여자 셋>(1996~1999)이나 지리적 배경과 세트까지 고스란히 참조한 에스비에스 <뉴욕 스토리>(1997~1998)도 빼놓을 수 없다. 작정하고 적기 시작하면 아마 지면이 모자랄 것이다.

요즘에야 안방에서도 바다 건너 티브이 프로그램을 찾아보는 게 쉬워져 딱 잡아떼기 어려워진 세상이 되었다고 하지만, 불과 십수년 전만 해도 이런 의혹 제기에 대한 흔한 답안은 “본 적이 없다”였다. 시청자들이 직접 비교 확인을 하기 어려우니, 일단 지르고 봤던 것이다. 아직 가장 대중적인 영상매체가 브이에이치에스(VHS) 비디오테이프였던 시절이었고, 외국 프로그램을 보려면 현지에서 비디오테이프를 확보해 들여와야 했던 시대에 가장 보편적이던 변명이다. 1999년 방송위원회는 같은 해 7월 방송된 에스비에스 <서세원의 슈퍼 스테이션>의 코너 ‘현상수배’가 후지티브이 <달려라 행복건설>의 ‘도망자’를 베꼈다는 판단을 내렸다. 프로그램 중 20여군데가 닮았고, 개중 네댓 장면은 아예 똑같다고 결론을 낸 것이다. ‘아예 똑같다’는 판단에 대해 제작진은 프로그램을 만들기 전엔 <달려라 행복건설>을 본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프로그램 방영 뒤 일본 프로를 봤는데 유사점이 많았다. 문제가 된다면 앞으로 포맷을 대폭 변경하겠다.”(<동아일보> 1999년 8월6일치, 에스비에스 ‘서세원의… 현상수배’ 방송 표절 의혹)

표절 논란 와중에 나오는 ‘본 적이 없다’는 흔한 변명의 선배는 텔레비전이다. 문화방송 ‘아빠! 어디 가?’(위 사진)를 참조한 티가 역력한 한국방송 의 ‘슈퍼맨이 돌아왔다’(아래)는 오히려 더 큰 대중적 인기를 누렸다. 재빨리 따라하는 전략이 별다른 비판을 받지 않고 성공하는 분위기에서 과연 어떤 제작자들이 창조적인 작품을 만들겠는가.
‘접해본 적 없다’는 표절 시비나 참조 과잉 논란을 겪는 이들이 자주 하는 말들 중 가장 그 역사가 유구할 것이다. 흔히 접근성 부인이라고도 표현하는데, 오렌 라비의 ‘허 모닝 엘레강스(Her Morning Elegance)’ 뮤직비디오와 일란성 쌍둥이처럼 닮은 광고를 만든 모 광고회사의 “뮤직비디오의 존재를 오늘 알았다. 스톱모션 기법 때문에 비슷해 보이는 것”이라던 해명이 대표적일 것이다. 물론 ‘접해본 적 없다’던 사람들이 모두 다 거짓말을 하는 건 아니겠지만, 표절 논란이 불거지면 무릎 척수반사처럼 튀어나오는 해명이라 그 신뢰도가 바닥난 것도 사실이다. “오래전 <금각사> 외엔 읽어본 적 없는 작가로 해당 작품은 알지 못한다. 이런 소란을 겪게 해 내 독자 분들께 미안하고 마음이 아프다. 풍파를 함께 해왔듯이 나를 믿어주시길 바랄 뿐이고, 진실 여부와 상관없이 이런 일은 작가에겐 상처만 남는 일이라 대응하지 않겠다”(신경숙, 2015년 6월17일)는 입장을 접했을 때, 사람들이 쓴웃음만 지은 것엔 다 이유가 있는 것이다.

원전에 독자적인 요소를 첨가해 나름의 성취를 거둬 더 이상 표절을 논하기 애매해진 프로그램들도 있다. 일본 엔에이치케이(NHK)의 <노도지망>(1946~)을 수상스럽게 닮은 한국방송 <전국노래자랑>(1980~ )은 나름대로 오랜 세월 한국 고유의 정서를 담아내며 차별화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고, 일본 만담 레퍼토리 중 하나인 ‘쥬겐무(수한무)’를 변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 서영춘 선생의 ‘서수한무 거북이와 두루미’ 콩트 또한 일본식 만담을 마당극 풍의 한국 콩트 코미디에 무리 없이 이식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모두가 쉬쉬하며 외국 프로그램을 레퍼런스 삼던 시절이었기에 관대한 평가를 받는다는 점도 무시할 순 없지만, 한국 코미디 역사의 가장 빛나는 별 고 서영춘 선생이나 송해 선생의 커리어에 누가 되는 기록으로 남지 않는 것은 자신만의 색채를 담아내 원전과의 차이점을 만들어냈기에 가능한 일이다.

물론 “유사성은 있으나 독자적인 성취”라는 이야기는 양날의 검이다. 그 유사성을 부인하기 어려운 경우에조차, 장르적 특징이라거나 클리셰를 논하며 “닮은 부분보단 독자적인 부분이 많다”고 주장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니 말이다. 앞서 언급한 <더 지니어스> 시리즈 또한 제작진이 “이미 잘 알려진 몇몇 프로그램들을 참고한 것은 사실이나 참조했을 뿐 표절은 아니며 장르적 유사성은 방송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라고 주장한 바 있고, 문화방송 <우리들의 일밤> ‘나는 가수다’ 시리즈(2011~15)의 ‘기존 가수들의 서바이벌 대결’이란 요소를 차용해 온 한국방송 <불후의 명곡2-전설을 노래하다>(2011~ )의 제작진 역시 “가수들이 출연하는 음악 서바이벌이라는 점만 제외하면 ‘나가수’와 비슷한 부분을 찾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문화방송 <우리들의 일밤> ‘아빠! 어디 가?’(2013~14)를 참조한 티가 역력한 한국방송 <슈퍼 선데이>의 ‘슈퍼맨이 돌아왔다’(2013~ ), 에스비에스 <오! 마이 베이비>(2014~ ) 때에도 해명은 비슷했다. 장르적 유사성이 있으나 우리는 이러이러해서 다르다.

며칠 전까지만 해도 이런 눈 가리고 아웅 식의 면피는 연예계의 고질적인 문제였다. 그러나 한국 문학계의 양대산맥 중 하나인 창비가 지난 17일 ‘표절이 아니’라는 입장을 발표하며, 우리는 그 동네나 이 동네나 사정은 비슷하다는 우울한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선남선녀의 결혼과 신혼 때 벌어질 수 있는, 성애에 눈 뜨는 장면 묘사는 일상적인 소재인 데다가 작품 전체를 좌우할 독창적인 묘사도 아니다(문장 자체나 앞뒤 맥락을 고려해 굳이 따진다면 오히려 신경숙 작가의 음악과 결부된 묘사가 더 비교 우위에 있다고 평가한다).” (창비 보도자료, 2015년 6월17일)

이승한 티브이 칼럼니스트
세간의 십자포화에 화들짝 놀란 창비는 뒤늦게 다음날 대표이사 명의로 한 차례 더 해명을 한다. “이 사태를 뼈아프게 돌아보면서 표절 문제를 제기한 분들의 충정이 헛되지 않도록, 이 문제에 대한 논의가 자유롭고 생산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 언제나 공론에 귀기울이겠습니다. 현재 제기된 사안에 대해서는 작가와 논의를 거쳐 독자들의 걱정과 의문을 풀어드리기 위해 노력하는 동시에, 내부의 시스템을 재점검하고 필요한 후속조치를 마련하는 일도 게을리하지 않겠습니다.” 글쎄, 그래서 표절이라는 건지 아니라는 건지 뭘 말하고 싶은 건지 알 수 없는 글을 보면서 든 생각은 단 한 가지다. 아, 방송쟁이들이 참조할 만한 변명 방법이 하나 더 늘었구만. 이승한 티브이 칼럼니스트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토요판] 이승한의 술탄 오브 더 티브이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