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구미시 선산읍 낙동강 구미보 아래쪽 감천 합류지점 가장자리 모래톱 위, 4대강 공사에 사용된 녹슨 그물망 사이로 27일 풀이 자라고 있다. 구미/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
모래 재퇴적량 가늠조차 못해
국토부·감사원·시민단체 등
4대강 유지관리비 추정 제각각
친수시설 관리 떠안은 지자체
연 1500억 써야 할 판인데
정부선 “올 예산 다 합쳐 1354억”
| ||
끝나지 않은 4대강사업 경북 영주시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에는 높이 55m, 길이 390m에 달하는 영주다목적댐이 들어서 있다. 내성천 일대는 고운 은빛 모래와 왕버드나무가 절경을 이루지만, 내년이면 깊은 물속에 잠기게 된다. 올 하반기부터 담수(물 채우기) 작업이 시작돼, 내년이면 모두 수몰되기 때문이다.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지어진 영주댐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살펴보면, 홍수조절편익은 0.2%에 불과하다. 환경영향평가서를 봐도, 이 지역에는 ‘가뭄 피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목적 댐으로서의 효용보다는 낙동강 중하류 수질개선편익(86%)에 근거해 추진중인 사업으로, 단지 맑은 물을 흘려보내기 위해 1조원이 넘는 재원을 들여 물을 가두는 셈이다. 낙동강 녹조 희석시키려
영주댐 물 가두고
보현산댐도 아직 공사중 “더이상 돈 쓰지 말고
해법 찾을 때까지 유예를” 경북 영주시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에는 높이 55m, 길이 390m에 달하는 영주다목적댐이 들어서 있다. 내성천 일대는 고운 은빛 모래와 왕버드나무가 절경을 이루지만, 내년이면 깊은 물속에 잠기게 된다. 올 하반기부터 담수(물 채우기) 작업이 시작돼 내년이면 모두 수몰되기 때문이다.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지어진 영주댐의 예비타당성조사를 살펴보면, 홍수조절편익은 0.2%에 불과하다. 환경영향평가서를 봐도 이 지역에는 ‘가뭄 피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목적댐으로서의 효용보다는 낙동강 중하류 수질개선편익(86%)에 근거해 추진중인 사업으로, 단지 맑은 물을 흘려보내기 위해 1조원이 넘는 재원을 들여 물을 가두는 셈이다. 경북 영천시 고현천에는 보현산댐 또한 한창 사업이 진행중이다. 보현산댐은 높이 57m, 길이 245m로 계획돼 있으며, 2014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수공)는 또 안동댐과 임화댐을 연결하는 수로를 건설하는 작업도 진행하고 있다. 이들 사업은 모두 4대강 사업의 일환이다. 현재까지 4대강 사업으로 7조1000억원의 빚을 짊어진 수공은 이 두 가지 사업에 9000억원을 추가로 투입해야 한다. 끝나지 않은 4대강 사업이 여전히 환경과 공공 재정의 발목을 붙들고 있는 셈이다. 정부 대신 막대한 빚을 진 수공에 주어진 선물 역시 또다른 부실의 씨앗이 될 가능성이 크다. 이명박 정부와 새누리당은 ‘친수구역법’을 만들어 수공에 도시개발사업권을 안겼다. 그러나 개발사업의 경험이 없는 수공이 섣불리 뛰어들기엔 현재 시장의 상황이 만만치 않다. 이에 ‘총체적 부실’로 드러난 4대강 사업에 대해 사회적 합의를 통한 해법이 도출될 때까지는 일종의 모라토리엄(지급 유예)을 선언하고 추가적인 재정 투입을 막아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민주당 박수현 의원은 “4대강 사업이 대국민 사기극이었음이 입증된 이상 사회적 합의에 의한 해답을 찾는 것이 우선”이라며 “해법이 마련되기까지 물 가두기와 추가 재정투입을 막는 것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길”이라고 말했다. 이철재 환경운동연합 정책위원도 “시작하지 말았어야 했던 사업을 여기까지 끌고 온 것만으로도 우리 국토와 환경, 미래 세대에 막대한 손해를 미친 것”이라며 “최소한의 유지관리를 하면서 재자연화를 위한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유일한 해법”이라고 말했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