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12.03 18:21 수정 : 2018.12.04 14:05

황재옥
평화협력원 부원장·민화협 정책위원장

11월6일 미국의 중간선거는 사실상 트럼프 대통령의 승리였다. <뉴욕 타임스>조차 트럼프 재선에 ‘파란불’이 켜졌다고 했다. 중간선거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대북 협상의 속도 조절을 강조했다. ‘강자의 오만’일까. 11월8일 폼페이오 장관과 김영철 부위원장의 고위급회담은 무산됐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전통적인 외교 접근이 아닌 트럼프식 대북 접근에 대한 불만과 우려가 미국 내에서 나왔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공개한 북한의 삭간몰 보고서를 <뉴욕 타임스>가 ‘북한의 기만행위, 거대한 사기게임’이란 극단적 표현을 써가면서 반북몰이에 이용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이 보도를 ‘새로울 것 없는 가짜뉴스’라고 즉각 받아치면서 <뉴욕 타임스>의 딴지걸기는 실패했다.

그러나 미국 조야의 분위기는 심상치 않다. 일단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문제 전문가들과 민주당의 잇따른 공격을 차단하기는 했으나, 미국 내 보수·진보 진영은 각자 다른 논리로 회의론을 펴고 있다. 생리적인 반북 정서 탓에 보수진영은 북한이 핵무기를 절대 포기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정권 교체’ 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식이다. 그들의 화살은 자신들이 지지하는 트럼프 대통령을 향하기보다 문 대통령의 ‘과속’과 ‘믿지 못할 체제’인 북한을 향해 있다. 반면 민주당과 진보진영의 부정적 시각은 반트럼프 정서에 기인한다.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반감으로 그의 어떠한 외교적 성과도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북핵문제도 예외는 아니다.

이번 <뉴욕 타임스>의 삭간몰 기사를 보면서 1998년 8월18일 이 매체의 ‘금창리 지하동굴’ 보도가 떠올랐다. 위성사진 분석 결과 지하동굴은 핵시설이 분명하니 김대중 정부에게 대북제재에 동참하라고 요구했다. 클린턴 정부는 사실 확인을 위해 1999년 5월부터 2차에 걸친 방문조사를 했고, 그에 대한 조건으로 60만톤의 식량을 북한에 제공했다. 그러나 금창리 시설은 핵시설이 아닌 텅 빈 공간으로 확인됐다. 당시 미 보수층은 불확실한 위성사진 한장으로 클린턴 정부의 대북정책에 타격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왜곡된 가짜뉴스였다. 북한 관련 가짜뉴스는 또 있다. 2005년 3월 북한이 리비아에 6불화우라늄(UF6, 우라늄 농축 원료)을 판매했다는 의혹이었다. 당시 부시 정부는 노무현 정부에게 대북제재 동참을 요구했다. 베이징 6자회담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대북 압박전술이었던 것 같다. 과거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는 미 보수진영의 대북 의혹과 정보 왜곡이 잦았고, 남북 간 교류가 정지되었던 이명박·박근혜 정부 시절에는 가짜뉴스로 딴지를 걸어왔던 적이 없었다. 이런 맥락으로 보면 문재인 정부 시기에도 미국발 가짜뉴스는 정부의 대북 행보를 어렵게 만들 가능성이 높다.

지금까지 북핵 협상은 끝까지 가본 적이 없다. 12월 초로 예정된 북-미 간 고위급회담 일정이 아직 나오지 않았고, 2차 북-미 정상회담 일정도 안갯속이다. 앞으로 비핵화가 마무리되고 평화가 정착될 때까지는 트럼프 정부와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에 딴지를 걸려는 가짜뉴스가 끊이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그런 가짜뉴스들은 국산보다는 미제가 더 많이 생산될 것이다. 그럴 때마다 우리 언론만큼은 보수, 진보를 떠나 국민의 평안과 국가이익 차원에서 가짜뉴스를 팩트체크하면서 보도했으면 한다. <뉴욕 타임스>마저도 가짜뉴스로 대통령의 행보에 딴지를 거는 마당에 다른 매체들도 그러지 않을 것이란 기대를 할 수 없다. 그러나 북핵문제에 관한 한 우리 언론만큼은 가짜뉴스를 베끼지 않기 바란다. 이는 이 땅의 평화정착을 방해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세상읽기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