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 연구원 6월13일 지방선거에서 유권자는 광역단체장, 광역의회 의원과 정당, 기초단체장, 기초의회 의원과 정당, 시도교육감 각각을 선출하기 위해 총 7표를 행사하게 된다. 후보등록 이후 선거기간은 13일이다. 늘 생각하지만, 7개 직위의 후보들을 섭렵하고 누구에게 투표할지를 결정하기엔 너무 짧은 시간이다. 유권자로서는 이 짧은 시간만을 주고 투표율이 낮다거나, ‘줄 투표’를 한다거나, ‘감이 안 되는 후보들’을 선택했다고 비난받는 일은 참 억울한 일이다. 우리 동네에 어떤 후보가 나오는지, 그가 살면서 무슨 일을 해왔는지, 그가 동네를 위해 어떤 정책을 제안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 최소한의 시간은 줘야 하지 않는가. 공식 후보등록 이전에라도 각 정당들이 좀 더 빨리 당내 경선 과정을 거쳐 본선 후보를 내놓는다면 유권자는 좀 더 많은 것을 알고 투표장으로 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정당들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최대한 늦게 후보를 공천하는 것이 이롭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최근엔 국회, 각 시·도의회가 합심하여 유권자의 권리를 제대로(!) 침해하는 일이 발생해서 논란이 되고 있다. 기초의회 의원 선거구 획정 때문이다. 우리 선거법에 따르면 국회가 광역의회 의원 정수와 선거구를 정해줘야 그 범위 안에서 기초의회 선거구를 획정할 수 있다. 그런데 국회는 여태 그걸 안 하고 있다. 또 각 시·도의회는 벌써 선거구 획정위원회를 꾸려 기초의회 선거구를 획정했어야 하지만, 역시 안 하고 있다. 시·도의회는 국회가 정해주지 않아서 그렇다 치고, 국회는 묵묵부답이다. 문제는 ‘그들이’ 이걸 자기들만의 문제라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반년도 남지 않은 선거에서 우리 동네 기초의회 선거구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알아야 하는 건 현직자나 도전자나 투표를 해야 하는 유권자나 다 마찬가지다. 그런데 지금 그걸 아무도 모른다. 후보자는 선거구를 모르니 선거운동을 하기 어렵고, 유권자는 후보가 움직이질 않으니 정보를 얻지 못한다. 또 기초의회 선거구 획정의 원칙도 논란거리다. 현재 선거법은 기초의회 선거구당 의원 정수를 2~4인으로 정할 수 있게 해놓았고, 이 제도는 2005년 변경되어 2006년 선거부터 적용되었다. 2005년 제도를 바꿀 때 당시 사회적 합의는, 1인 선거구로는 선거 때마다 기초의회 의원 정수를 계속 늘려야 하는 문제가 있으니, 농촌지역 선거구는 2인을 기준으로, 대도시 지역은 4인을 기준으로 선거구당 의원 정수를 늘려서 의석수 상승 압력을 낮추고 대표의 다양성도 확보하자는 것이었다. 이 제도의 취지는 시행 처음부터 당시 원내 1~2당 때문에 훼손되었다. 이 두 당은 2006년부터 대도시 지역 다수 선거구의 의원 정수를 4인으로 하지 않고 2인으로 하는 담합을 감행했다. 이들은 2010년과 2014년 그 어떤 욕을 먹어도 꿋꿋하게 2인 선거구를 지켜냈다. 전국의 기초의회 선거구에서 사이좋게 손을 잡고 동반 당선되는 이점을 누려온 것이다. 최근 서울시 선거구 획정위원회는 올해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현재 2인 선거구 중심의 체제를 조정하여 4인 선거구를 대폭 늘리는 안을 내놓았는데, 이 두 당은 또 합심하여 선거구획정위 안에 저항하며 2인 선거구 지키기에 나섰다. 특히 집권 민주당의 태도에 실망이 매우 크다. 서울시의회 의원의 다수는 민주당 의원들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문재인 정부를 민주당 정부라고 했고 촛불민심으로 탄생한 정부라고 했다. 촛불민심이 당신들더러 자유한국당과 손잡고 기득권을 지키라고 하던가.
칼럼 |
[야! 한국 사회] 민주당의 기득권 지키기 / 서복경 |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 연구원 6월13일 지방선거에서 유권자는 광역단체장, 광역의회 의원과 정당, 기초단체장, 기초의회 의원과 정당, 시도교육감 각각을 선출하기 위해 총 7표를 행사하게 된다. 후보등록 이후 선거기간은 13일이다. 늘 생각하지만, 7개 직위의 후보들을 섭렵하고 누구에게 투표할지를 결정하기엔 너무 짧은 시간이다. 유권자로서는 이 짧은 시간만을 주고 투표율이 낮다거나, ‘줄 투표’를 한다거나, ‘감이 안 되는 후보들’을 선택했다고 비난받는 일은 참 억울한 일이다. 우리 동네에 어떤 후보가 나오는지, 그가 살면서 무슨 일을 해왔는지, 그가 동네를 위해 어떤 정책을 제안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 최소한의 시간은 줘야 하지 않는가. 공식 후보등록 이전에라도 각 정당들이 좀 더 빨리 당내 경선 과정을 거쳐 본선 후보를 내놓는다면 유권자는 좀 더 많은 것을 알고 투표장으로 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정당들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최대한 늦게 후보를 공천하는 것이 이롭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최근엔 국회, 각 시·도의회가 합심하여 유권자의 권리를 제대로(!) 침해하는 일이 발생해서 논란이 되고 있다. 기초의회 의원 선거구 획정 때문이다. 우리 선거법에 따르면 국회가 광역의회 의원 정수와 선거구를 정해줘야 그 범위 안에서 기초의회 선거구를 획정할 수 있다. 그런데 국회는 여태 그걸 안 하고 있다. 또 각 시·도의회는 벌써 선거구 획정위원회를 꾸려 기초의회 선거구를 획정했어야 하지만, 역시 안 하고 있다. 시·도의회는 국회가 정해주지 않아서 그렇다 치고, 국회는 묵묵부답이다. 문제는 ‘그들이’ 이걸 자기들만의 문제라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반년도 남지 않은 선거에서 우리 동네 기초의회 선거구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알아야 하는 건 현직자나 도전자나 투표를 해야 하는 유권자나 다 마찬가지다. 그런데 지금 그걸 아무도 모른다. 후보자는 선거구를 모르니 선거운동을 하기 어렵고, 유권자는 후보가 움직이질 않으니 정보를 얻지 못한다. 또 기초의회 선거구 획정의 원칙도 논란거리다. 현재 선거법은 기초의회 선거구당 의원 정수를 2~4인으로 정할 수 있게 해놓았고, 이 제도는 2005년 변경되어 2006년 선거부터 적용되었다. 2005년 제도를 바꿀 때 당시 사회적 합의는, 1인 선거구로는 선거 때마다 기초의회 의원 정수를 계속 늘려야 하는 문제가 있으니, 농촌지역 선거구는 2인을 기준으로, 대도시 지역은 4인을 기준으로 선거구당 의원 정수를 늘려서 의석수 상승 압력을 낮추고 대표의 다양성도 확보하자는 것이었다. 이 제도의 취지는 시행 처음부터 당시 원내 1~2당 때문에 훼손되었다. 이 두 당은 2006년부터 대도시 지역 다수 선거구의 의원 정수를 4인으로 하지 않고 2인으로 하는 담합을 감행했다. 이들은 2010년과 2014년 그 어떤 욕을 먹어도 꿋꿋하게 2인 선거구를 지켜냈다. 전국의 기초의회 선거구에서 사이좋게 손을 잡고 동반 당선되는 이점을 누려온 것이다. 최근 서울시 선거구 획정위원회는 올해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현재 2인 선거구 중심의 체제를 조정하여 4인 선거구를 대폭 늘리는 안을 내놓았는데, 이 두 당은 또 합심하여 선거구획정위 안에 저항하며 2인 선거구 지키기에 나섰다. 특히 집권 민주당의 태도에 실망이 매우 크다. 서울시의회 의원의 다수는 민주당 의원들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문재인 정부를 민주당 정부라고 했고 촛불민심으로 탄생한 정부라고 했다. 촛불민심이 당신들더러 자유한국당과 손잡고 기득권을 지키라고 하던가.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