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6.11.08 19:22
수정 : 2006.11.08 19:22
|
김용창/세종대 교수·부동산경영학
|
나라살림가족살림
지난주부터 아파트 시장에 미친바람이 몰아치고 있다. 집을 보러 다니는 잠깐 사이에도 가격이 요동을 치고 , 하룻밤 자고 나면 몇 천만원씩 오르는 게 일도 아니다. 한 부동산 정보업체의 조사 결과, 10월20일부터 27일까지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서 1억원원 이상 오른 평형이 117곳이나 되었다. 말이 1억원이지 집 없는 사람 중에 몇 해에 걸쳐서라도 노동소득으로 1억원을 모을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우리나라의 주거 수준과 주택 품질을 짧은 기간에 끌어올리는 데 크게 이바지한 아파트가 사회문제의 원천이 되었다.
영연방 국가에서는 플랫이라고도 부르는 아파트는, 외국에서는 건물의 일부를 점유하는 개별가구 독립식의 주거단위를 가리킨다. 일본에서는 맨션이 이에 가깝다. 서양에서 아파트의 역사는 로마시대까지 거슬러 오른다고도 하지만, 1840년대 뉴욕시가 거의 하루에 20만여 명씩 물밀듯이 밀려오는 독일과 아일랜드계 등의 이민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임대용 아파트를 공급하였던 것처럼 아파트는 근대 자본주의 동반자이자 발전의 애환을 담고 있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서 아파트가 처음 등장한 것은 일제강점기인 32년 충정로에 세운 51가구의 유림아파트라고 한다. 64년 마포아파트를 건축하면서 본격적인 아파트 시대를 열어 삽시간에 우리의 주거문화를 지배하였다. 좁은 국토를 더욱 좁게 쓰는 수도권 중심의 사회·경제 활동 집중문제를 해결하는 데 더할 나위 없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주거공급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아파트는 재산을 늘리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었고, 온국민이 아파트에 미치면서 늘 부동산 투기의 주범으로 몰렸다. 89년 노태우 대통령이 새도시 건설로도 부동산 투기가 근절되지 않으면 긴급명령권을 발동해서라도 투기를 잡겠다는 의지를 불태운 바 있다. 긴급명령권을 발동해야 할 만큼 아파트는 투기의 대상인 동시에 주택문제를 푸는 해결사 노릇도 해야 하는 존재가 되었다.
통계청의 2005년 기준 인구주택 총조사 결과를 보면, 총주택 수는 1322만3천호이며, 이 가운데 아파트가 696만3천호로서 전체의 52.7%를 차지한다. 이제는 시골의 논밭 가운데도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고 있어, 자연경관 보존은 고사하고 인공경관의 다양성도 심각한 위기상황에 놓였다. 자기가 사는 아파트 단지가 곧 무너지게 생겼다고 인정받은 것을 좋아하면서 고층 아파트로 탈바꿈시키는 것이 특단의 주택공급 정책으로 인정받는 상황이다. 성냥갑 모양의 주거공간으로 무장을 더욱 강화하고 있는 국토공간이 21세기 우리의 자화상이다.
또다른 이면을 보면, 수많은 아파트가 지어지고 있지만 지하방, 옥탑방, 판잣집과 움막, 동굴 등에서 거주하는 경우도 68만가구 162만여명에 이른다. 그리고 자기 집에 사는 사람은 55.6% 불과하고, 전체 가구의 41.4%인 657만가구, 1666만명은 여전히 전세나 월세로 살고 있다.
우리나라 주택문제는 곧 아파트 가격의 문제로만 인식하고 가격문제를 해결하는 방책으로 아파트 중심 새도시 건설, 중대형 아파트 공급 확대, 재건축 아파트의 규제 완화와 공급 확대 논리만 관심의 대상이고, 여론도 이 문제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 주택문제에 대한 이야기 푸는 방식을 바꾸어야 한다. 단순한 아파트 공급 확대 논리만으로 가격문제와 주택문제가 풀리지 않는다. 언론이 시시콜콜한 뒷이야기는 잘도 캐면서 아파트 건설가격에 대해서는 그 흔한 심층 기획기사와 추적 프로그램을 만들지 못하는 것도 아파트 공화국의 비극이다.
김용창/세종대 교수·부동산경영학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