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마스쿠스 북쪽 시리아사막 한가운데에 있는 오아시스 고대도시 팔미라. 이곳에서 중국 비단유물이 발견되면서 실크로드 오아시스 육로는 오늘날처럼 지중해 연안까지 연장됐다.
|
정수일의 실크로드 재발견 <39> 오아시스로의 서단, 팔미라
2005년 8월14일, 괜히 아침부터 들뜬 기분이다. 새벽 다섯시 일어나 호텔 주변을 몇 바퀴 돌고 벤치에 앉아 하루 일정을 더듬어 봤다. 갈 곳은 다마스쿠스 북쪽으로 215㎞ 떨어진 시리아 사막 한가운데의 오아시스 도시 팔미라. 26년 전, 한번 다녀온 곳이지만 모래 먼지 뒤집어쓰고 달려가 신전 터를 대충 둘러본 기억뿐이다. 그러나 이번 걸음은 사뭇 다르다. 아침 8시 출발해 두 시간쯤 달렸다. 사막 속에 운치있게 꾸민 ‘바그다드 카페’가 나타난다. 생 박하 잎을 띄운 홍차를 마시며 30분간 쉬었다. 얼마 안 가서 크네피스 마을의 모래언덕을 마구 파헤친 노천 인산염 채굴장이 보였다. 여기저기 녹슨 채굴기 잔해들이 나뒹군다. 팔미라는 한 시간을 더 달린 뒤 도착했다. 한사코 팔미라를 찾은 것은 실크로드사에서 차지하는 중요성 때문이다. 1877년 독일 학자 리히트호펜이 중국~중앙아시아~서북 인도 사이의 교역로 연변에서 고대 중국의 비단 유물이 발견된 사실을 중시해 이 길을 독일어로 ‘자이덴슈트라센’ 곧 ‘실크로드’라고 지었다. 뒤이어 독일의 동양학자 헤르만은 중앙아시아에서 지중해 동쪽 해안의 팔미라까지 이어지는 오아시스 곳곳에서 중국 비단 유물이 발견된 사실을 중시해 비단교역로를 팔미라까지 연장하고 ‘실크로드’(일명 오아시스로)를 재천명했다. 요컨대, 팔미라에서 비단이 발견됐으므로 실크로드는 오늘날처럼 지중해 동안까지 연장되었던 것이다. 기원전 2370년 점토판에 첫 등장기원 전후 비단 등 한나라와 교역
실크로드 지중해까지 확장시켜
‘바그다드카페’ 지나 벨 신전 웅장
타드무르는 기원전 6세기 아케메네스조 페르시아 치하에 들어갔다가, 기원전 4세기 알렉산더 동정을 계기로 그리스문화의 영향을 받아 ‘팔미라’로 불리게 된다. 기원전 1세기부터 기원후 3세기 중엽까지 로마제국 속지로 있었지만, 상당한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7만 대군이 이집트 원정까지 갈 정도의 국력을 지닌 왕국으로 컸다. 일세를 풍미한 마지막 여왕 제노비아가 로마군에 사로잡히는 비운을 맞으면서 약 300년간의 팔미라 영화는 끝났으며, 벨 신전을 제외한 모든 건물들이 파괴되었다. 오늘날 팔미라는 인구 3만에 10여㎢의 유적지가 있는 관광명소다. 도착 시간은 정오지만, 들머리에 들어서자마자 곧바로 중국 비단 조각이 나왔다는 에라벨 탑묘로 향했다. ‘무덤 골짜기’의 탑묘군에 있는 이 묘는 부호 에라벨 일가가 103년 지은 탑 모양 무덤이다. 지하실과 지상 4층을 합쳐 높이가 2에 이르며, 약 300구의 주검이 묻혀 있었다고 한다. 입구 윗면 바깥에 아치형 노대가 튀어나왔는데, 그 밑 석판에 무덤에 대한 설명문이 새겨져 있다. 층층마다 가로로 벽감을 파고 주검을 안치했으며, 동쪽 벽면에 사자 흉상을 그렸다. 한나라 때의 비단, 즉 한금(漢錦) 조각 여러 점들은 바로 이곳의 주검을 감싼 수의 속에서 나왔다. 한금은 날실로 무늬를 만들어 씨실을 감추는 날실 현문(顯紋)과 날실을 두드러지게 해 천이 밭이랑처럼 부푸는 이랑 무늬가 특색이다. 한금 유물은 기원 전후 한나라와 1만여 ㎞나 떨어진 시리아 사이에 진행된 교류의 일단을 입증한다. 〈위서〉 ‘서융전’에는 팔미라를 차란(且蘭) 왕국이라 지칭하면서 대진(大秦: 로마)에 예속되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밖에 에라벨 탑묘 말고도 2세기 중반 지은 5층짜리 ‘3형제’ 탑묘와 아르타반 탑묘도 둘러봤다.
팔미라 아르티반 탑묘의 내부. 공간 사이로 관을 차례로 넣어 시신을 안치한다.
|
팔미라의 고대도시 유적 위로 해가 떠오르고 있다. 이곳의 일출과 일몰은 손꼽히는 장관이다.
|
오후에는 팔미라박물관을 찾았다. 61년 개관한 구관을 3년 전부터 일본 쪽에서 직접 지원하고 증수해서 2주 전 새롭게 단장해 다시 문을 열었다고 한다. 선사시대 뗀석기(타제석기)부터 팔미라 왕국 시대의 여러 신전 복원도까지 다양한 유물이 선보이는 중인데, 눈길을 끈 것은 2층에 전시된 한금 등 각종 견직 유물이었다. 놀라운 것은 진열장 태반이 일본 고고학팀 발굴품으로 채워졌다는 사실이다. 일본은 70년부터 발굴에 참여해 지금은 벨 신전 한 모퉁이에 연구소까지 차려놓았다. 같은 동양학자로서 자부를 느꼈으나 한편으로는 소외된 우리 현실에 자괴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어 팔미라 유적 중에서 가장 오래된 벨 신전으로 발길을 옮겼다. 서기 32년 본전을 짓기 시작해 2세기 중엽까지 주랑, 정문, 주벽 등 부속 건물들을 완성했다. 이 그리스식 신전은 동서 길이 210m, 남북 20의 정방형이며, 가운데 본전은 동서 30m, 남북 5의 직사각형 석조 건물이다. 주위는 코린트식 열주가 에워싸고 있다. 본전 좌우 벽 감실에는 주신 벨을 중심으로 양옆에 월신인 아그리볼과 태양신 야르히볼이 있다. 본전은 4세기 이후 기독교회로, 7세기 뒤에는 이슬람 사원으로 썼는데, 흔적들이 오롯하게 남아 있다. 벨 신전을 나와 도시 유적 답사에 나섰다. 주요 유적들은 팔미라의 척추 격인 열주 도로를 따라 좌우에 촘촘히 있다. 동서로 뻗은 너비 11m의 열주도로는 길이가 1100m나 되며, 양쪽에는 높이 9., 지름 95cm의 코린트식 석주가 750개나 늘어서 숲을 방불케 한다. 기둥의 위쪽 끝에는 대상무역 유공자들의 석상을 얹으려고 만든 대좌(받침대)가 약간 튀어나와 있다. 대좌 밑에 공덕을 찬양하는 명문이 그리스·팔미라어로 새겨져 있다. 팔미라인들이 얼마나 교역을 중시했는가 하는 단적인 증거다. 이 도로의 기점은 200년께 세웠다가 1930년 복원한 아치형 개선문이다. 양쪽에 출입문 달린 개선문에 들어서서 열주 도로를 따라 나가다 보면, 오른쪽(북쪽)에 293~303년 지은 목욕탕이 나타난다. 좀 더 나가면 왼쪽(남쪽)으로 원형 야외극장에 이르게 된다. 전형적인 로마식 극장이다. 양옆에는 소음 차단벽도 설치했다고 한다. 극장 바로 곁에는 원로원 의사당이 붙어 있으며, 그 남쪽에 폭 84m, 길이 71m의 세관 건물이 있었다.
팔미라 가던 길에 들른 바그다드 카페. 카페 밖은 황량한 사막이다.
|
안쪽은 차를 즐기는 여행객들로 붐빈다.
|
동방문물 수혈 위해 키웠다 파괴한 ‘사막의 꽃’
로마제국과 팔미라
|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