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이화/역사학자·서원대 석좌교수
|
기고
오늘날 한국 사회는 혼돈이라 할 정도로 의식 과잉의 늪에 빠져 있는 모습이다. 독재 시절에는 감히 입도 뻥긋 못할 저급한 담론을 쏟아내고 있는 것이다. 민주항쟁의 전리품인 학문과 언론의 자유가 이런 담론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한번 짚어보자. 우리는 중국의 고구려사를 포함한 고대사 왜곡과,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과 근대사 오도에 많은 논란을 벌이고 있다. 그들의 논리는 허구와 억지와 은폐로 꾸며져 있다. 그래서 민족적 분노가 끓어오르고 대응논리도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특히 동북공정이니 백두산공정이니 하는 이름으로 발표한 논문과 일제의 잔혹을 부정하는 교과서 기술은 그들이 역사를 바라보는 수준을 의심하게 한다. 그런데도 국내의 여러 세력은 중구난방식으로 엉뚱한 주장을 펴고 논리를 개발하고 있다. 뉴라이트를 표방한 세력은 사회주의자들의 민족운동을 부정하는 것은 물론 식민지 근대화론을 펴더니 4·19민주혁명과 반독재 민주화운동마저 부정하고 있다. 식민지 상태에서 공장을 세우고 철도를 깔았다고 하여 근대화를 이룩했다는 주장은 극히 단편만을 보는 단순논리이다. 식민지 민중을 노예로 만들기 위해 민족어를 못 쓰게 하고 풍속을 부정하여 민족혼을 말살하려는 식민지 동화정책이 어찌해 근대화론으로 포장될 수 있는가? 식민지 수탈론이 합리적 수준을 벗어났다고 치더라도 식민지 근대화론은 너무나 빗나간 논리다. 고대 국가의 영역이 현재 자기네 영토 안에 있다고 하여 소수민족의 역사는 중국사에 포함된다는 주장은 근대 사학의 기초를 허무는 오류다. 그것도 오랫 동안 사료로나 역사인식이 인정한 엄연한 사실을 두고 현실적 이해에 따라 재단하는 것은 역사를 도구로 전락시키는 행위일 것이다. 그들은 민족 우월을 기저로 한 중화주의, 극단적 국가관인 국수주의로 무장하고 있는데도 우리만이 탈민족주의 탈국가주의를 내세우면서 민족분단 구조 아래에서 무장해제를 해야 옳은 방향인가? 우리 민족은 결코 침략적 민족주의를 추구하지도 않았고 방어적 민족주의에 충실해 왔다는 점을 감안해 둘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욱이 이른바 뉴라이트들이 제시한 ‘교과서 시안’을 들여다 보면 독재자를 미화하면서 민족운동 진영의 분열을 강조하고 사회주의자들의 민족운동을 부인하고 있으며 민주화운동마저 반동으로 평가하고 있다. 또 일부 언론에서는, 과거사 청산이 진실을 규명하는 바탕에서 화해를 추구하기보다 과거사 자체를 부정하거나 과거사를 왜곡하는 논리를 전개하기도 하면서 오히려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 친일파 후손들이 엉뚱하게도 재산찾기에 열을 올리는데도 친일청산을 거부하거나 트집을 잡는 논조를 펴고 있다. 거기에 정치적 계산에 따라 사실을 왜곡 호도하고 있다. 그 하나의 보기가 동학농민전쟁의 직접적 도화선이 되고 탐관오리로 일컬어지는 조병갑의 후손을 두고 인권을 유린하고 연좌법을 적용하는 식의 폭로성 ‘작문’을 만들어 대서특필하는 모습이다. 이는 역사의 진실을 엉뚱한 방향으로 끌고 가기도 하고 역사의 지평을 좁히기도 하고 역사적 사실을 왜곡 은폐하기도 하는 작태들이다. 우리 사회는 현재 보수니 진보니 하는 진부하다면 진부한 논쟁 속에 휘말려 있다. 반공 이데올로기의 재생을 보는 듯하며 독재정권을 합리화하는 작업으로 보이기도 한다. 저열한 시비로 역사 바로세우기와 역사정의의 실현은 공염불이 되어가고 있다. 절차 민주주의는 상당히 실현되었으나 민주가치는 혼란 속에 방황하고 있다. 더욱 냉철하게 현실인식을 정리해 보는 자세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역사는 어떤 의도에 따라 적당하게 써 먹는 도구가 아니다.이이화/역사학자·서원대 석좌교수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