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7.12.04 18:17
수정 : 2007.12.04 18:17
|
이상현/지속가능발전 커뮤니티 ‘서스틴’ 운영자
|
기고
이맘 때면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이른바 ‘사회공헌 활동’이 활발하다. 홀몸 노인들이 겨우내 먹을 김치를 담가주고, 쌀이며 옷가지에 구멍 난 담벼락도 고쳐주는 착한 기업들을 보기가 어렵지 않다. 돈 벌기에도 바쁜 시간에, 그것도 적잖은 돈까지 들여가면서 사회공헌 활동을 하는 이유가 무엇이든, 사회는 기업들의 노고에 박수를 보내야 할 것이다. 좀 아쉬운 것은 사회공헌 활동 방법이 비슷하다는 점, 또 공들인 것에 비춰 사회 구성원들의 폭넓은 칭찬이 적은 점도 아쉽다. 막연히 반기업 정서 때문이라고만 치부하기도 뭣한 것이, 저마다의 사회공헌 활동이 뭔가 ‘사회적인’ 가치를 낳는 데 실패하고 있기 때문인 것 같다. 사회적인 가치가 무엇인가. 그런 가치는 정의하기에 앞서 그냥 대번에 알아채는 것이리라.
영국의 몇몇 금융기관들은 지속가능 경영 또는 금융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명분으로 저소득층 밀집 주거지역에 수수료를 떼지 않는 현금 자동인출기를 설치해 운영하고, 이를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한다. 반면 우리나라 국민 대다수는 현금 자동인출기 앞에서 현금인출 수수료 때문에 매번 화가 난다.
대뜸 우리 시중 은행들도 현금 자동인출기를 이용한 현금인출 수수료를 없애자고 주장하는 게 아니다. 조금만 신경을 써서 진부하지 않으면서도 소중한 가치를 낳는 ‘은행의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만들자는 얘기를 하고 싶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비정부기구(NGO) 등 여럿이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라면 더욱 좋겠다. 모두들 관심 있는 얘기일 테니까.
일단 보건복지부가 시행 중인 ‘기초생활 보장 수급금 전용통장’의 계좌를 터준 은행은 대상자들이 수수료 없이 돈을 찾을 수 있는 현금카드를 따로 만들어 주자. 아니면 이들이 돈을 찾으러 가야 하는 지자체 시설에 수수료를 떼지 않는 현금인출기를 설치하자. 국가가 지원하는 생계비를 타러 가까운 지자체 시설을 방문해야 하는 저소득층 주민들은 아마도 노인이나 병약자일 것이다. 이들이 모처럼 집을 나선 김에 필수 건강검진을 받도록 해주자면, 보건소가 현금인출 장소로 적합할지도 모르겠다. 지역의 치과의사들이 윤번제로 짬을 내어 이들의 치아 건강을 살펴준다면 ‘선생님’이란 호칭이 더욱 어울리겠다. 지역 시민단체와 지자체 사회복지사들이 이런 프로그램을 기초생활 수급 대상자들에게 알리고 그들을 찾아가 외출 채비를 돕는다면 금상첨화다.
기초생활 수급권자에게 현금인출 수수료 1000원의 기회비용은 부자들의 10만원 이상일 것이다. 또 기업들이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가동하는 데 드는 시간과 돈, 인력의 기회비용도 만만찮을 것이다. 은행이 기초생활 수급자들한테서 떼어가는 현금인출 수수료 규모는 그리 크지 않을 것이다. 반면 은행이 이것을 포기하고, 그 기회비용으로 창출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는 자못 클 것이다.
사회공헌 본질의 영역에서 기회비용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이 이런 발상의 핵심이다. 상생이요, 지속 가능한 공동체 발전의 조짐을 현실의 영역으로 끄집어내는 일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나 공동체 구성원들의 지속가능 발전은 거창한 명분과 새로운 이론, 엄청난 금전투자에서 비롯되는 게 아니다. 오히려 사회 구성원들이 ‘개별’적으로 처한 ‘특수’한 처지를 ‘보편’적인 합리성으로 풀어주는 데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요즘 은행 경영이 어렵다고 한다. 채산성 위기는 어쩌면 은행 스스로 부른 것일 수도 있다. 이런 때일수록 은행의 사회적 책임을 근본 쪽에서 생각해야 한다. 누구든 이런 꾀를 현실로 만들어 보라.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먼저 나선 은행을 응원할 것이다.
이상현/지속가능발전 커뮤니티 ‘서스틴’ 운영자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