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9.07 21:16 수정 : 2008.09.07 21:16

케말 데르비슈 유엔개발계획(UNDP) 총재

특별기고

아주 오랫동안 민간기업은 인간개발의 주요 동력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그러나 우리가 사는 세계가 갈수록 상호 의존적으로 변하면서 ‘빈곤층과 함께하는 기업활동’은 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빈곤 퇴치에도 일조할 수 있게 됐다. 8일 서울에서 열리는 유엔 글로벌콤팩트와 유엔 ‘새천년 개발목표’ 심포지엄에서 소개되는 유엔개발계획 보고서는 ‘모두를 위한 가치 창출’, 곧 세계 극빈층을 위한 ‘새천년 개발목표’의 달성과 동시에 기업들의 이익추구도 가능하게 하는 인상적인 사례들을 보여준다.

범아프리카 텔레커뮤니케이션 그룹인 셀텔은 2003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시작했다. 당시 치안은 매우 불안하고 금융 분야도 취약했다. 새로 공급된 셀페이(Celpay) 서비스는 돈을 송금하는 손님들을 위해 무선 펀드인증 메시지 기술을 제공했다. 그 결과 셀텔은 전국적으로 200만명이 넘는 이용자를 확보했고, 수천개의 직업과 숙련된 현지 기술자들, 영업인력을 보유하게 됐다.

포괄적 성장을 위한 기회들이 많은 반면, 어려운 숙제들도 많다. 빈곤층을 대상으로 한 시장은 많은 회사들로서는 미지의 영역이다. 제한된 시장 정보, 불충분한 규제 환경, 부족한 인프라, 미흡한 지식과 기술, 금융 상품과 서비스의 제한된 접근성 등과 같은 힘든 장애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애들은 빈곤층에게 종종 ‘빈곤의 형벌’로 해석된다. 자카르타·마닐라·나이로비 슬럼가에 사는 사람들은 물을 구하느라 뉴욕이나 런던 같은 고소득층이 모여 있는 도시 소비자들보다 5배에서 10배의 비용을 치른다. 이런 ‘빈곤의 형벌’은 신용 분야, 건강관리나 전기공급 분야에서도 비슷한 실정이다.

이번 새 보고서는 개발도상국들의 저명한 조사원들이 연구한 50가지 사례들을 기술하고 있다. 이는 기업가들이 현지 사정에 적응해서 새로운 기회들을 성공적으로 발굴하고, 복잡한 현지 상황을 이해해서 혁신적 해결책을 찾아낸 사례들이다. 저개발국에서 민간사업의 참여는 주로 다국적 기업들에 집중되어 있다. 다국적 기업들은 그 거대한 영향력과 전 세계에 걸친 접근성, 자원을 이용해서 성공한 기업수익 모델의 본보기다. 그러나 규모가 작은 지역사업들도 유효한 많은 전략들을 알려준다.

기업은 홀로 자립할 수 없다. ‘모두를 위한 가치 창출’ 보고서는 정부, 기부자, 시민사회, 그리고 빈곤층과 함께하는 사업이 좀더 포괄적인 시장으로 성장할 토대를 만들어 줄 수 있다고 제안한다. 정부는 빈곤층과 관련된 시장의 조건을 향상시키고, 그들의 경제적 참여를 가로막은 장벽을 없앰으로써 이 사업의 힘을 키울 수 있다. 이미 빈곤층과 함께 일하는 비영리단체, 공공서비스 제공자들, 소액 대출업체들은 기업과 협동하고 자원을 공동으로 이용하여 빈곤층이 기회를 잡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사회적 책임감을 가진 투자가들과 자선가들은 이런 시간 집약적이고 불확실한 모험이 가능하도록 사업기금을 제공할 수 있다.

강력하고 효과적인 정치·사회적 단체들과 함께 기업가들과 회사, 그리고 가정은 혁신을 지향하고 적절한 고용 창출을 위해 투자의 위험성을 감수할 것이다. 이러한 일자리들이 만들어내는 수입과 창조적인 에너지를 통해 사람들은 가난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이것은 그들의 생산 능력과 기술이 향상되는 것을 뜻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견고한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빈곤층은 힘이 없지 않고, ‘빈곤의 형벌’을 치를 이유도 없다.

케말 데르비슈 유엔개발계획(UNDP) 총재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기고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