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이 국보로 승격 지정되었다는 소식이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동의보감은 2009년 7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었는데,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선행연구를 통해 국내 후보 선정 및 신청, 등재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주도하였기에 그 의미가 더 크다. 또한 동의보감이 세계기록유산에 선정된 이후 당시에 보물로 지정되어 있던 동의보감을 국보로 승격해야 한다는 의견을 각계에 건의한 바 있다. 하지만 보물이든 국보든 모두 우리 민족이 마땅히 보존해야 할 훌륭한 문화재임에는 변함이 없으며, 세계기록유산으로 신청한 2건의 동의보감 완질 초간본 이외에도 국내에 소장된 초간본이 더 있을 수 있다는 의견에 따라 추후 조사를 거쳐 한꺼번에 국보 지정을 심의하기로 하였다. 꽤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지만 이번에 문화재청에서 이미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된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본과 함께 규장각 소장본 2건을 국보로 지정한 것은 다소 늦은 감이 없지 않으나 대단히 환영할 만한 일이다. 올해는 의성 허준(1539~1615) 선생 서거 400주년이 되는 해라서 더욱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다. 동의보감은 7년에 걸친 임진·정유왜란을 겪으면서 집필되었다. 편찬을 완료하고 나서도 미처 목판으로 새기기도 전에 서북 지방부터 번지기 시작한 역병을 막기 위해 반포를 뒤로 미룬 채 방역서를 먼저 펴냈어야만 했다. 이때 급히 출간한 책이 바로 1613년에 연이어 나온 <벽역신방>과 <신찬벽온방>이다. 보물 1086호와 1087호로 지정되어 있다. 세계 최초로 성홍열에 대한 임상치료 기록을 남겼다는 <벽역신방>, 조선 중기 급성열병에 대한 독자적인 치료법을 제시한 <신찬벽온방>, 이들은 모두 한 권의 책으로서만 가치가 있는 게 아니다. 난생처음 마주했던 악독한 전염병과의 목숨을 건 싸움의 과정을 기록한 전사(戰史)이기도 하다. 해마다 종류를 달리하여 우리를 위협하는 각종 전염병은 이제 위험 수준을 넘어 집단공포심을 야기하고 있다. 인류의 역사는 곧 전염병 극복의 역사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 땅에는 수천년간 전통을 이어온 한의학이 있고 우리에게는 선천적으로 각인된 질병 극복의 역사가 유전자로 남아 있다. 따라서 오늘날 동의보감을 비롯하여 허준이 펴낸 또 다른 의서들을 그저 전시관에 진열된 귀중본으로만 여기는 데 그쳐서는 안 될 것이다. 고전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필요한 까닭은 후속 세대들에게 큰 가르침을 주는 지혜가 담겨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한글과 스마트폰에 익숙한 현세대들에게 억지로 고전을 읽게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동의보감>과 역대 고전의약서에 담긴 조상의 지혜와 전통의학의 노하우를 다가올 미래 세대가 손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만 한다. <의방유취>와 <향약집성방>으로부터 <동의보감>, <동의수세보원>으로 이어지는 우리의 전통의약 지식을 후대에 전달할 수 있도록 의과학과 전통문화가 어우러진 새로운 의학시스템으로 거듭나야 한다.
이혜정 한국한의학연구원장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