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연구자·에프엔에스 컨설팅 대표 지난 10월 중국 제19차 당대회가 열렸다. 여기서 시진핑 주석은 미래의 국정운영 방향을 제시했다. 그중 정층설계에 대한 것이 여러 언론에서 주목을 받았다. 일부 언론은 이를 ‘디지털 레닌주의’라고 표현했다. 중앙집권적 계획경제 중심의 레닌주의를 디지털화했단 뜻이다. 정층설계, 즉 하향식 설계에 대해선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은 많이 보이지 않았다. 심도 있는 논의의 마중물이 되기 위해 정층설계의 의미를 정리해 본다. 첫째, 정층설계는 복합적 의미를 지닌다. 신계획경제와 장기 국가발전 전략이 그것이다. 신계획경제라 함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및 사물통신 등 디지털 기술에 의해 수요를 판단하고 공급하는 경제체제를 의미한다. 지난해 알리바바의 마윈이 주장하기도 했다. 장기 국가발전 전략이란 다양한 분야에서 2050년까지의 발전전략을 수립, 추진하는 것을 말한다. 둘째, 정층설계 중 신계획경제는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위성이나 드론 등을 이용해 농작물 재배 현황을 파악하고, 다음에 재배할 농작물을 결정할 수 있다.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은 제조업체의 가치사슬을 디지털 기술로 통합함으로써 제조물을 원하는 때 원하는 디자인으로 생산성 하락 없이 만드는 체계를 의미한다. 빅데이터와 사물통신, 인공지능 등 디지털 기술은 수요의 실시간 측정과 계획을 기술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계획경제의 단점으로 지적된 높은 계획비용과 시간지체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나아가 신계획경제는 인류에게 바람직할 수도 있다. 중국은 향후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2만~3만달러로 늘리려고 한다. 만약 중국의 14억 인구가 소득 증대에 따라 화석연료를 더 태우고 자원을 더 사용한다면, 지구 생태계는 이를 감당할 수 없다. 신계획경제는 에너지 및 자원의 불필요한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다. 셋째, 신계획경제는 1~2차 산업에 국한된다. 전체 경제 규모의 일부만을 담당한단 뜻이다. 지식 산출물은 계획 생산이 불가능하다. 인공지능은 계획에 의해 생산되는 것이 아니다. 미국의 1차산업 고용 규모는 2% 이하, 2차산업 중 제조업은 8% 이하이다. 이른바 제4차 산업혁명의 진행은 이 고용 규모를 더욱 낮출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1차산업은 1%, 제조업은 4% 미만이 될 것이다. 대신 서비스산업과 지식산업의 비중이 올라갈 것이다. 해당 산업에서 생산하는 부가가치도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중국이 신계획경제를 경제시스템의 근간으로 삼는다 해도 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신계획경제와 시장경제는 병존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층설계는 세계화와 지식의 급격한 증가 등으로 인한 복잡성 증가에 제대로 대응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복잡성의 증가는 정층설계의 지배구조인 소수 엘리트에 의한 지배를 어렵게 할 것이다. 인류의 반복된 경험이 이를 입증해왔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의 디지털 기술은 한편에서는 사회적 복잡성을 단순화시키나, 다른 한편에서는 세계화와 지식 증가 속도를 가속화시켜 그 이상으로 복잡성을 높일 것이다. 머지않아 중국 당국은 통제의 환상에서 벗어날 것을 요구받을 수도 있다. 중국의 정층설계는 다양한 가능성을 안고 있다. 지구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면서 양극화 문제를 극복한 국가모델이 될 수도 있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전체주의 국가가 될 수도 있다. 한국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중국의 변화에 대응해 우리는 미래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칼럼 |
[기고] 중국의 디지털 레닌주의 / 윤기영 |
미래연구자·에프엔에스 컨설팅 대표 지난 10월 중국 제19차 당대회가 열렸다. 여기서 시진핑 주석은 미래의 국정운영 방향을 제시했다. 그중 정층설계에 대한 것이 여러 언론에서 주목을 받았다. 일부 언론은 이를 ‘디지털 레닌주의’라고 표현했다. 중앙집권적 계획경제 중심의 레닌주의를 디지털화했단 뜻이다. 정층설계, 즉 하향식 설계에 대해선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은 많이 보이지 않았다. 심도 있는 논의의 마중물이 되기 위해 정층설계의 의미를 정리해 본다. 첫째, 정층설계는 복합적 의미를 지닌다. 신계획경제와 장기 국가발전 전략이 그것이다. 신계획경제라 함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및 사물통신 등 디지털 기술에 의해 수요를 판단하고 공급하는 경제체제를 의미한다. 지난해 알리바바의 마윈이 주장하기도 했다. 장기 국가발전 전략이란 다양한 분야에서 2050년까지의 발전전략을 수립, 추진하는 것을 말한다. 둘째, 정층설계 중 신계획경제는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위성이나 드론 등을 이용해 농작물 재배 현황을 파악하고, 다음에 재배할 농작물을 결정할 수 있다.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은 제조업체의 가치사슬을 디지털 기술로 통합함으로써 제조물을 원하는 때 원하는 디자인으로 생산성 하락 없이 만드는 체계를 의미한다. 빅데이터와 사물통신, 인공지능 등 디지털 기술은 수요의 실시간 측정과 계획을 기술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계획경제의 단점으로 지적된 높은 계획비용과 시간지체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나아가 신계획경제는 인류에게 바람직할 수도 있다. 중국은 향후 1인당 국내총생산(GDP)을 2만~3만달러로 늘리려고 한다. 만약 중국의 14억 인구가 소득 증대에 따라 화석연료를 더 태우고 자원을 더 사용한다면, 지구 생태계는 이를 감당할 수 없다. 신계획경제는 에너지 및 자원의 불필요한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다. 셋째, 신계획경제는 1~2차 산업에 국한된다. 전체 경제 규모의 일부만을 담당한단 뜻이다. 지식 산출물은 계획 생산이 불가능하다. 인공지능은 계획에 의해 생산되는 것이 아니다. 미국의 1차산업 고용 규모는 2% 이하, 2차산업 중 제조업은 8% 이하이다. 이른바 제4차 산업혁명의 진행은 이 고용 규모를 더욱 낮출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1차산업은 1%, 제조업은 4% 미만이 될 것이다. 대신 서비스산업과 지식산업의 비중이 올라갈 것이다. 해당 산업에서 생산하는 부가가치도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중국이 신계획경제를 경제시스템의 근간으로 삼는다 해도 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신계획경제와 시장경제는 병존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층설계는 세계화와 지식의 급격한 증가 등으로 인한 복잡성 증가에 제대로 대응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복잡성의 증가는 정층설계의 지배구조인 소수 엘리트에 의한 지배를 어렵게 할 것이다. 인류의 반복된 경험이 이를 입증해왔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의 디지털 기술은 한편에서는 사회적 복잡성을 단순화시키나, 다른 한편에서는 세계화와 지식 증가 속도를 가속화시켜 그 이상으로 복잡성을 높일 것이다. 머지않아 중국 당국은 통제의 환상에서 벗어날 것을 요구받을 수도 있다. 중국의 정층설계는 다양한 가능성을 안고 있다. 지구 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면서 양극화 문제를 극복한 국가모델이 될 수도 있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전체주의 국가가 될 수도 있다. 한국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중국의 변화에 대응해 우리는 미래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