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안전 차관) “외딴 산골 가옥에 혼자 사는 김아무개 노인은 추운 겨울 난방비를 아끼기 위해 전기장판을 끄고 잠이 들었다. 밤 기온이 내려가 체온까지 급격히 떨어지는 응급상황에서 그가 차고 있던 손목밴드에서 저체온을 감지하고 인근 소방서에 생체 이상 신호와 위치정보를 발신하자 소방서 구급요원이 신속히 출동하여 응급처치를 통해 김 노인을 회생시킨다.” 바로 우리가 꿈꾸는 미래 안전사회의 한 모습이다. 최근 들어 비트코인, 드론, 자율주행차 등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이 우리 일상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있다. 상상 속에 있었던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성큼 우리 가까이에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정작 재난 안전 분야에서 그 성과를 체감하기는 아직 어려운 게 현실이다. 아현 통신구 화재, 일산 온수관 파열, 강릉 케이티엑스(KTX) 탈선 등의 사고에서 보듯이 우리 사회의 중요한 기반시설 관리, 안전 관리에도 아직 이러한 최첨단 기술들이 제대로 적용이 안 되고 있다. 정부는 소방·경찰 등 재난 대응 기관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공 무선통신망 구축사업을 2020년까지 1조5천여억원을 투입하여 완료할 계획이다. 재난안전통신망 사업은 재난이 발생하여 사용량이 급증하거나 장애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통신을 원활하게 하여 신속한 현장대응을 지원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나아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하여 다른 공공분야와 민간분야로까지 활용 영역을 확장할 경우, ‘안전서비스 플랫폼’으로서 새로운 기술투자를 유도하고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등 더 많은 시너지 효과까지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 대표적인 안전 서비스를 살펴보면, 첫째,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하여 재난사고 예방 및 대응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아파트 내 공기 상태, 화재, 가스 누출 등을 센서를 통해 24시간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를 감지하면 신호를 보내 소방서 및 경찰서에서 신속하게 출동할 수 있다. 이렇듯 다양한 센서와 재난안전통신망을 결합하여 재난, 기상, 전염병 등 다양한 비상상황을 예측하고 선제적인 예방과 대응 조처가 가능하다. 둘째, 빅데이터,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재난안전 플랫폼 구축이다. 경찰, 소방, 도로공사 등 기관으로부터 재난안전사고 관련 각종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지도 기반 상황판에 잠재 위험요소와 비상상황의 실시간 진행 모습과 함께 시각적으로 표출하여 재난 관리자들의 상황판단과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셋째, 국민들에게도 좀 더 고도화된 안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위치정보, 생체정보 등을 발신할 수 있는 손목밴드를 재난안전통신망에 연결하여 구조·구급이 필요한 사람의 상태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초기 대응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되면 세월호와 같은 해상 사고에서도 승선자 구조와 실종자 수색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되며, 평시에는 안전 취약계층인 독거노인, 치매노인, 어린이 등에게 손목밴드를 활용한 다양한 맞춤형 안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듯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재난안전통신망의 무한한 활용 가능성을 실현하는 데는 범정부적인 협업과 관련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 무엇보다 국민들의 관심과 성원이 필요하다. 이제 본궤도에 오른 재난안전통신망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재난안전 관리 역량이 한 차원 높아지고 사회 전반에 ‘생명안전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국민들이 그 성과를 체감하는 날이 하루빨리 오기를 기대해본다.
칼럼 |
[기고] 4차 산업혁명과 재난안전통신망 / 류희인 |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안전 차관) “외딴 산골 가옥에 혼자 사는 김아무개 노인은 추운 겨울 난방비를 아끼기 위해 전기장판을 끄고 잠이 들었다. 밤 기온이 내려가 체온까지 급격히 떨어지는 응급상황에서 그가 차고 있던 손목밴드에서 저체온을 감지하고 인근 소방서에 생체 이상 신호와 위치정보를 발신하자 소방서 구급요원이 신속히 출동하여 응급처치를 통해 김 노인을 회생시킨다.” 바로 우리가 꿈꾸는 미래 안전사회의 한 모습이다. 최근 들어 비트코인, 드론, 자율주행차 등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이 우리 일상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있다. 상상 속에 있었던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성큼 우리 가까이에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정작 재난 안전 분야에서 그 성과를 체감하기는 아직 어려운 게 현실이다. 아현 통신구 화재, 일산 온수관 파열, 강릉 케이티엑스(KTX) 탈선 등의 사고에서 보듯이 우리 사회의 중요한 기반시설 관리, 안전 관리에도 아직 이러한 최첨단 기술들이 제대로 적용이 안 되고 있다. 정부는 소방·경찰 등 재난 대응 기관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공 무선통신망 구축사업을 2020년까지 1조5천여억원을 투입하여 완료할 계획이다. 재난안전통신망 사업은 재난이 발생하여 사용량이 급증하거나 장애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통신을 원활하게 하여 신속한 현장대응을 지원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나아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하여 다른 공공분야와 민간분야로까지 활용 영역을 확장할 경우, ‘안전서비스 플랫폼’으로서 새로운 기술투자를 유도하고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등 더 많은 시너지 효과까지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 대표적인 안전 서비스를 살펴보면, 첫째,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하여 재난사고 예방 및 대응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아파트 내 공기 상태, 화재, 가스 누출 등을 센서를 통해 24시간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를 감지하면 신호를 보내 소방서 및 경찰서에서 신속하게 출동할 수 있다. 이렇듯 다양한 센서와 재난안전통신망을 결합하여 재난, 기상, 전염병 등 다양한 비상상황을 예측하고 선제적인 예방과 대응 조처가 가능하다. 둘째, 빅데이터,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재난안전 플랫폼 구축이다. 경찰, 소방, 도로공사 등 기관으로부터 재난안전사고 관련 각종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를 지도 기반 상황판에 잠재 위험요소와 비상상황의 실시간 진행 모습과 함께 시각적으로 표출하여 재난 관리자들의 상황판단과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셋째, 국민들에게도 좀 더 고도화된 안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위치정보, 생체정보 등을 발신할 수 있는 손목밴드를 재난안전통신망에 연결하여 구조·구급이 필요한 사람의 상태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초기 대응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되면 세월호와 같은 해상 사고에서도 승선자 구조와 실종자 수색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되며, 평시에는 안전 취약계층인 독거노인, 치매노인, 어린이 등에게 손목밴드를 활용한 다양한 맞춤형 안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듯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재난안전통신망의 무한한 활용 가능성을 실현하는 데는 범정부적인 협업과 관련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 무엇보다 국민들의 관심과 성원이 필요하다. 이제 본궤도에 오른 재난안전통신망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재난안전 관리 역량이 한 차원 높아지고 사회 전반에 ‘생명안전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국민들이 그 성과를 체감하는 날이 하루빨리 오기를 기대해본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