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12.19 18:37 수정 : 2019.12.23 10:39

[짬] 국립 연변가무단 함순녀 부단장

지난 18일 서울 추계예술대 콘서트홀 입구에서 함순녀 국립연변가무단 부단장이 이날 열리는 무용공연 <해란강의 여령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보근 선임기자

“남북, 그리고 재중·재일 동포의 춤 교류를 활성화해 우리 민족 춤을 세계적 춤으로 만들어나갔으면 합니다.”

‘국립 연변가무단’을 이끌고 18일 서울 추계예술대에서 공연을 성황리에 마친 함순녀(55) 가무단 부단장의 소망이다. 이날 연변가무단은 <해란강의 여령들-그 70년의 여정>이라는 무용공연을 무대에 올렸다. 연변가무단 무용부문의 국내 첫 단독 공연이다.

추계예술대 콘서트홀을 메운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받으며 진행된 공연은 정말 “연변의 젖줄인 해란강에서 온 여령(요정)들이 조선족 동포들의 70여년 무용 역사를 한 무대에서 소개”하도록 꾸며졌다. 1부에서는 군무 ‘꽃분이 시집가네’와 독무 ‘수양버들’ 등 1970~80년대 연변가무단 작품들이, 2부는 군무 ‘비상’과 2인무 ‘인연’ 등 2000년대에 새로 창작한 작품들이 소개됐다. 중간중간 1950~60년대 조선족 무용작품을 소개하는 특별영상도 나왔다. 함 부단장은 바로 이 공연에서 ‘세계로 나아가는 우리 민족춤’의 비전을 봤다고 했다.

그는 ‘우리춤 세계화’의 열쇠로 남북과 재중·재일동포들의 활발한 무용 교류를 꼽았다. 남북·재중·재일동포들의 무용이 동일한 민족성에 바탕하면서도 각각의 처지에 맞게 다양하게 발전해왔다고도 했다.

“한국무용은 이수자 제도 등을 통해 전통무용을 잘 보존해왔다고 생각해요. 창작무용 수준 또한 매우 높아요. 반면, 조선(북한)무용은 최승희 영향으로 무용 언어들이 아주 역동적이고 활달하고 테크닉도 발빠르게 진행되는 등 역시 높은 수준입니다.”

그는 ‘조선민족무용’으로 불리는 조선족 동포 무용에 대해 “이런 남북 무용의 장점을 흡수한 데다, 연변 동포들의 생활상, 중국 내 56개 소수민족들과의 경쟁요소 등이 보태져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남북과 재중동포 무용 모두 공통된 민족성에 바탕을 두되 각자의 처지를 반영해 ‘창조적 전환’을 이루어냈다는 것이다. 함 부단장은 ‘창조적 전환’에 대해 “자기 전통과 문화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이것을 새 환경과 새 미감에 맞게 새롭게 승화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실 그 자신의 무용 역사야말로 민족 무용의 교류와 융합을 상징한다. 1978년 중2 어린 나이에 연변예술학원 무용학부에 들어가 조선족 무용을 배웠단다. 그 연변예술학원 스승인 박용원 선생은 북한 무용의 틀을 만든 최승희의 제자였다. 함 부단장은 예술학원을 졸업하고 1981년 연변가무단원이 되자마자 인민해방군예술학교와 상해무용학원에 연수생으로 가게 됐다.

조선족 70여년 무용 역사 담은
‘해란강 여령(요정)들’ 무대 큰 호응
“남과 북 무용사 담은 공연 만들어
교류하면 무용 세계화 앞당길 것
우리 사이 같음·다름 배우고 느껴야”

작년 전국인민대표자회의 대표 선출도

그는 그곳에서 중국 학생들과 함께 현대무용과 고전무용을 익혔다. 1997년에는 남한 국립극장에서 연수를 하며 한국무용을 접했다. 그는 남북·조선족·중국 무용을 섭렵한 다양한 활동이 평가돼 2018년 전국인민대표자회의 대표(한국의 국회의원)에 선출되기도 했다.

실제로 남북·재중·재일 동포들의 무용 교류는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서로를 변화시킨다. 이는 ‘해란강의 여령들’ 1부와 2부의 차이에서도 드러난다. 기자가 보기에, 남한과의 교류 없이 북한과만 교류했던 1970~80년대 연변 조선민족무용(제1부)에서는 북한의 영향이 적지 않게 느껴졌다. 하지만, 남한과의 교류가 시작되고 중국의 세계화가 추진된 2000년대 이후 작품(제2부)은 훨씬 다양하고 풍성한 느낌으로 다가왔다. 그도 “제1부의 작품들이 토장(된장국) 냄새 나는 품격을 지녔다면, 2부는 글로벌시대에 걸맞게 다양한 교류를 통해 새로움을 창조해냈다고 본다”고 평했다.

그는 남북·재중·재일동포의 춤 교류가 본격화하면 ‘세계에 통할 새로운 춤’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남북·재중·재일동포의 춤은 우리 민족이라는 바탕 위에 자본주의·사회주의·중국·일본 등 각자가 처한 조건에 대응하여 ‘창조적 전환’을 이루었다. 같은 민족이 이렇게 각각 다른 조건에 처해 ‘창조적 전환’을 이룬 사례는 많지 않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함 부단장은 “우리 사이의 같음과 다름을 서로가 느끼고 학습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그 속에서 또다시 변화하고 발전한 우리 민족춤의 공통분모를 발견해낸다면 그것이 곧 세계적인 춤이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이번 연변가무단의 서울 공연은 이런 미래를 미리 내다본 비영리 문화기획단체 예연재(대표 정혜진)와 행사를 주최한 사단법인 한국민족춤협회(이사장 장순향)의 도움으로 성사될 수 있었다”며 “앞으로 조선(북한) 무용의 역사와 한국 무용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공연들까지 만들어져 서로 교류한다면 우리 춤 세계화의 꿈이 더 앞당겨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남북 모두와 교류하는 연변가무단의 이번 공연 <해란강의 여령들>이 그 새로운 출발점이 되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해란강의 요정뿐 아니라, 한강의 요정들과 대동강의 요정들까지 한 자리에 모이자는 함 부단장의 소망이 그리 멀지 않은 시기에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원해본다.

김보근 선임기자 tree21@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