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12.29 19:19 수정 : 2019.12.30 02:03

[짬] 평창 미탄중 장웅익 교장

장웅익 교장이 학생들에게 양봉 교육을 하고 있다. 미탄중 제공

“학생들과 함께 꿀벌을 키워 장학금을 조성하고, 생태계 보전과 경제활동의 소중함도 체험하고 있지요.“

전교생이 18명인 미탄중학교는 강원도 평창의 산골 학교다. 이 학교가 유명한 게 하나 있다. 모든 학생이 ‘꿀벌 장학금’을 받는다는 점이다. 올해 학생 1명에게 각각 50만원의 장학금이 지급됐다. 이 돈은 학생들이 올 한 해 직접 벌을 키워 꿀을 판 돈으로 마련했다.

학교가 ‘꿀벌 장학금’을 주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2월 ‘꿀벌 선생님’이란 별명을 가진 장웅익(62) 교장이 전입하면서부터다. 장 교장은 29일 <한겨레>와 한 전화인터뷰에서 “부임하고 보니 산골 학교인 탓에 기업체나 기관 등이 없어 학생들이 성실하게 학교생활을 해도 장학금을 받을 기회가 거의 없었다”고 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장 교장은 학생들에게 꿀벌을 키워보자고 제안했다. 평소 양봉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꿀벌을 키우면 학생들에게 어느 정도 장학금을 줄 수 있다고 자신했다. 또 꿀벌을 키우는 경험을 통해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몸으로 느끼고 경제활동도 체험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믿었다.

지난해 4월 학생들과 ‘양봉사랑반’을 만들고 꿀벌을 키우기 시작했다. 처음엔 꿀벌 가까이 가기조차 두려워했던 학생들이 시간이 가면서 점차 능숙한 양봉인으로 거듭났다. 꿀벌 장학금 조성 첫해인 지난해에는 학생 1명당 35만원의 장학금을 줬다.

올해는 학생들의 노력과 그동안 쌓인 경험 덕분에 벌꿀 생산량이 늘었다. 올해 교장 관사 옆에 마련된 벌통 20곳에서 생산한 벌꿀은 250여병에 이른다. 벌꿀을 얻기 위해 1년 동안 학생들은 매일같이 벌통을 청소하는 등 애정을 쏟았다. 판매는 선생님들이 살짝 도움을 줬다. 학생들이 직접 생산한 벌꿀을 판다는 소식을 교직원 소통 누리집에 올렸을 뿐인데 판매 시작 1시간 만에 다 팔렸단다. 조진용 미탄중 교무부장은 “학생들이 직접 생산한 정직한 꿀이라는 점 때문에 동료 교사들이 믿고 산 것 같다”고 전했다.

작년 전교생 18명 산골 학교 부임
학생들과 2년째 벌 키워 장학금
교장실 비워 넓은 공부방 마련도
퇴직 뒤 영월에 양봉학교 열 계획

과학전람회 명예의 전당 오른
국내 최고 수준 양봉전문가

처음부터 꿀벌 장학금 프로젝트가 순조로웠던 것은 아니다. 학부모들은 애들이 벌에 쏘이거나 성적이 떨어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하지만 장 교장의 진심에 점차 학부모들도 마음을 열었다. 그는 먼저 넓은 교장실을 학생들을 위해 내놓았다. 교장실을 ‘이룸터’란 이름의 공부방으로 개조하고 학생들이 양봉체험을 하면서도 마음껏 공부할 수 있도록 개인 책상과 조명시설 등을 설치했다. 또 인터넷 강의를 들을 수 있는 컴퓨터도 비치했다. 대신 교장실은 책상 하나와 손님용 소파를 간신히 놓을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쪽방으로 옮겼다.

학부모들이 걱정을 거둬들인 건 무엇보다 학생들의 반응 덕이다. 3학년 신태건 학생은 “양봉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벌을 돌보며 꿀을 얻는 것이 너무나 재미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개인 책상과 조명등이 있는 새 공부방에서 공부하니 집중이 더 잘 되는 것 같다”고 했다.

장 교장은 벌통 50개까지 학생들이 학업에 지장을 받지 않고 관리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이 정도면 1년에 장학금 3000만원을 조성할 수 있다. 장 교장은 “벌통을 늘릴지 말지는 학생들이 판단하고 결정할 몫이다. 내 역할은 학생들의 결정을 존중하고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말했다.

장 교장은 사실 국내 최고 수준의 양봉 전문가다. 양봉 연구의 달인으로 2014년 전국과학전람회(국립중앙과학관 주최) 60주년 명예의 전당 3인에 선정됐을 정도다. 2004년에는 ‘로열젤리 생산 증대를 위한 봉군(벌통)의 최적 조건 및 구조개선 연구’로 대통령상까지 받았다.

내년 정년퇴직을 앞둔 그는 양봉학교의 교장 선생님으로 제2의 인생을 준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인근 마을인 영월군 영월읍 흥월리에 5000㎡ 규모의 양봉농장을 마련해뒀다. 벌통만 120개 정도 규모다. 이곳에 양봉학교를 열 참이다.

그는 “제자들이 양봉체험을 통해 생명을 사랑하고 바른 경제관념을 가진 어른으로 성장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 일을 시작했다. 퇴직하더라도 꿀벌 장학금이 이어질 수 있도록 한 달에 몇 번이고 재능기부 형태로 찾아와 어린 학생들이 꿀벌의 세상에 눈을 뜰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