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생각] 백원근의 출판풍향계
“책은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서관 운영의 기본 원칙을 제시한 랑가나단의 ‘도서관학 5법칙’ 중 제1법칙이다. 이용자를 위한 자료 서비스가 도서관의 원점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이 땅에서는 도서관을 도서관답게 만드는 핵심인 장서와 전문 사서의 태부족이라는 근본 문제의 해결을 미룬 채 포장만 바꾼 정책들이 발표되곤 한다.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가 지난 1월에 발표한 ‘제3차 도서관 발전 종합계획’(2019~2023)도 그렇다. 2017년 한해 1042개 공공도서관에서 증가한 장서는 약 774만권이었다. 이용자에게 기증받은 책까지 포함해 한 도서관당 약 7천권 정도다. 연간 8만종의 책이 출판되지만 도서관에서 볼 수 있는 신간은 수천종에 불과하다. 이처럼 신간이 부족한 도서관은 이용자 감소와 직면한다. ‘2018 문화향수실태조사’를 보면 국민의 도서관 이용률이 2010년 20.5%에서 2018년 12.8%로 크게 줄었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 국정감사 자료는 공공도서관 연간 누적 이용자가 2013년 2억8701만명에서 2017년 2억7206만명으로 5.2% 줄었다고 밝혔다. 책이 기본이어야 할 대학도 마찬가지다. ‘대학도서관 진흥 종합계획(2019~2023) 수립을 위한 연구’의 이용자 조사 결과, 대학도서관 서비스에서 중요도와 만족도의 격차가 가장 큰 항목이 ‘최신 자료 제공’이었다. 가장 시급한 개선 과제 역시 ‘자료 부족 및 관리’ 문제였다. 인력 문제도 심각하다. 전국 공공도서관의 사서 충원 비율은 법정 기준의 18.2%에 그친다. 공공도서관의 40%(406개관)가 최소한의 사서 배치 기준인 3명 미만이고, 현직 사서의 68%는 비정규직이다. 대학도서관 직원 수도 2013년 대비 2017년 9% 감소했다. 초중고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수는 평균 0.1명도 안 된다.
지난해 12월 열린 제6기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전체회의에는 신기남 위원장과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참석했다. 출처 위원회 누리집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