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창립 10돌을 맞은 육아정책연구소 초대 소장이었던 이옥 덕성여대 아동가족학과 명예교수는 “보육의 공공성 제고를 위한 투자를 더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탁기형 선임기자 khtak@hani.co.kr
|
육아정책연 10돌, 이옥 초대 소장
10년 전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1.08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여자 1명이 가임 기간(15~49살)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인구 관련 중요 지표다. 인구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출산율은 2.1이다. 유럽의 주요 국가들은 합계출산율이 2.0 이하로 떨어지자마자 범국가적으로 적극적인 육아지원정책을 시행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이미 1984년부터 2.0 이하로 떨어졌지만, 국가 수준의 저출산 대응은 2000년대 중반 참여정부가 들어서면서부터 시작됐다. 사적인 영역이라 여겼던 육아 문제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만든 것이 육아정책연구소(이하 육아연)다. 창립 10돌을 맞은 육아연은 지난 4일 서울 서초동 외교센터 12층에서 10주년 기념식과 함께 한국아동패널 학술대회를 열었다. 지난 10년 동안 육아연은 보육과 유아교육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만들고 각종 육아정책에 필요한 연구들을 진행했다. 육아연의 지난 10년이 순조롭지는 않았다.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문을 닫을 위기도 겪었다. 육아연의 초대 소장이었던 이옥(62) 덕성여대 아동가족학과 명예교수를 지난 11일 만나 육아연과 육아정책의 변천사를 들어봤다. 또 현 정부의 육아정책에 대한 의견도 들어봤다. -연구소 초대 소장으로서 지난 10년을 어떻게 보는가? “10년 전 정부 차원의 육아지원정책을 펼치려고 해도 필요한 데이터가 거의 없었다. 보육과 유아교육의 대립은 첨예했고, 공·사립 보육기관의 격차가 컸다. 그런 상황에서 육아연 설립 후 정책 결정에 필요한 데이터가 생산되고 각종 정책연구도 이뤄졌다. 육아연이 생산하는 <한국아동패널>은 매우 의미있는 데이터다.”
전국 민간어린이집이 정부의 보육예산 확충 등을 요구하며 집단 휴원을 시작한 10월28일 아침 부분 휴원한 경기도 용인시의 한 어린이집에 전체 원생 70여명 중 15명만 등원하기로 해 통합반이 운영되고 있다.
용인/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
민간 어린이집만 대폭 늘려 박근혜 정부 맞춤보육 최우선 목표
‘보육예산 줄이기’에 있는 듯 누리과정 무상지원 대통령 공약
교육청 아닌 중앙정부 책임 보육정책만으로 저출산 해결 못해 -무상보육 정책에 막대한 예산이 들어갔는데도 저출산 문제가 여전하다는 의견도 있다. “보육지원 재정이 많다는 의견도 있는데, 아직도 국제적으로 보면 우리나라 보육지원예산은 적은 수준이다. 육아는 가족의 책임이라는 인식이 정부와 시민 대다수에게 깊이 깔려 있는 것 같다. 사실 구매력으로 환산한 한국의 아동 1인당 보육지원예산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유아교육예산 역시 국제적으로 비교하면 적은 편이다. 보육정책만으로 저출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나. 출산과 육아 지원은 물론 아이를 낳고 기르는 과정의 정신적·사회적 가치까지 인식하는 분위기가 필요하다. 노동정책 등도 필요하다.” -누리과정(만 3~5살) 예산 관련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생각은? “누리과정은 정부 정책인 유치원 교육과정과 어린이집 보육과정의 통합으로 이루어낸 결실이고 교육부 소관이다. 따라서 교육부가 지방재정교부금을 확충하는 방식으로 책임지고 지원하는 것이 맞다. 특히 누리과정 무상지원은 시·도 교육청장 공약이 아니라 대통령의 공약이었으므로 중앙정부가 책임져야 한다.” -보육정책의 최우선 과제는? “질 높은 보육과정을 제공해 모든 아동들이 동등하게 아동 발달에 적합한 환경에서 자랄 수 있어야 한다. 교사의 질과 보육의 공공성 제고가 최우선 과제라고 본다.” 양선아 기자 anmadang@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