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구미시의원·녹색당 “김정은이와 한 패거리야.” “우리 손주들은 이제 좋은 세상에서 못 산다.” 직접 들은 것 이외에 목격담도 많다. 문재인 정부에 대한 악담이 지역 노인들 사이에서 사납다. 그러면서도 그들은 태연자약하게 앉아 그저 저주만 늘어놓는다. ‘이 정부 역시 무너지리라.’ 자기가 지지하는 정권도 저주 때문에 무너졌다는 심보다. 그들도 ‘콘크리트 지지’의 철근을 이루던 시절이 있었다. 그때 그들은 자기와 다른 선택을 한 세력을 존중하지 않았다. 대통령을 ‘박근혜씨’라고 부른 정치인에게 광분할 만큼 승자의 여유, 주류의 도량은 없었다. 세월호 참사에서 대통령을 피해자로 치장했다. 구미에서 박정희 기념사업을 밀어붙이거나 그에 찬동하는 이도 그렇다. “김대중·노무현 기념사업은 아무 차질 없이 진행되는데 박정희 기념사업은 왜 이렇게 눈치를 봐야 하느냐”며 마치 무슨 잊혀진 좌익계열 독립운동가 기념사업이라도 하는 것처럼 떠벌려댄다. 그들은 대통령을 ‘대한민국 대표 유족’으로 설정했다. 이 피해망상은 좌익의 음모로 가득 찼다고 믿는 교과서를 향한 칼질로, 그리고 급기야 같은 집권당의 의원도 적처럼 공격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이제 그 콘크리트는 무너졌으나, 그들의 몰락으로 끝나지 않고 악순환할 조짐이 보인다. “고 노무현 대통령을 진보언론이 죽였다”는 세설이 또 판을 친다. 노 전 대통령 서거 직전까지 언론들이 매우 폭력적이었던 진실은 움직일 수 없다. 당시 한 정치인은 “이 죽음으로부터 자유로운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말했다. 그렇다. “아무도 없다.” 친노 논객은 “생계형 범죄” 운운하며 오히려 앞장서 고인을 궁지로 몰았다. 희생자조차 생전에 자결하는 노동자들을 두고 “죽음으로 항거하던 시대는 끝났다”고 일갈한 바 있다. 그야말로 모두의 책임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자성해서 그나마 나라가 여기까지 왔다. 그러나 반성하고 무릎 꿇으라고 소리만 질렀을 뿐 성찰하지 않은 이들이 있다. <한겨레>가 영부인을 ‘김정숙씨’로 부르는 것이 노 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괄시라고 우겨댄 이들의 활약으로, 기어이 지면의 영부인 호칭에서 ‘씨’가 발라졌다. ‘김윤옥 여사’, ‘김윤옥씨’, ‘권양숙 여사’, ‘권양숙씨’로 <한겨레> 기사를 검색해보면, <한겨레>는 그럭저럭 영부인 호칭을 ‘씨’로 표기한다는 원칙을 지켜왔으며 ‘여사’의 상당수는 인용인 경우다. 설령 어떤 매체가 매사에 김윤옥씨를 ‘여사’로, 김정숙씨를 ‘씨’로 불렀다 해도 욕먹을 일이 아니다. 김윤옥 여사는 구태의연하고, 김정숙씨는 신선하다는 방증이다(내 경우에도 의원 재직 시절 많은 주민들이 ‘김수민씨’라고 불렀고, 주민뿐 아니라 공무원 일부도 ‘수민 의원’이라고 칭했는데, 반갑게 받아들였다). 그들은 진보언론을 ‘구좌파’로, 자신을 신좌파라고 부른다는데, ‘여사’에 저리도 사활을 거는 신좌파는 세계사적으로 처음 본다. 저런 습성을 가진 이들이 풀뿌리 활동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는 건 우연이 아니다. 풀뿌리 활동은 남 탓하고 피해의식에 전 사람에게는 성과를 안겨주지 않는다. ‘실제로’, ‘손수’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 풀뿌리 활동가가 지녀야 할 덕목이다. 좋은 활동가들 대부분이 정치사회적 소수파에 해당하지만, 어차피 자신이 소수이기 때문에 세상을 헐뜯지 않고 소수들의 연합으로 다수 시민의 동의를 이루려고 노력하는 것이고, 그렇게 작은 성공의 경험들이 쌓인다. 여기에 자신은 언제나 옳았지만 이쪽저쪽이 방해해서 실패했다는 자기 연민과 망상이 움틀 자리가 별로 없다. 다수파는 그들을 본받기 바란다. 내게 다수파로 지목된 분들은 자신이 다수파가 아니라고 할지 모르겠지만, 그렇게 무책임한 태도가 바로 이명박에게 정권을 넘겨준 커다란 요인이었다는 것을 분명히 돌아보시라. 꾸며낸 피해자 서사와 소수파 시늉은 생각보다 그리 오래, 멀리 퍼지지 않는다. 내가 박근혜 지지자들에게 했던 말을 똑같이 재생한다. “다수파는 다수파답게 처신하라.”
칼럼 |
[지역이 중앙에게] 다수파의 남 탓과 피해의식 / 김수민 |
전 구미시의원·녹색당 “김정은이와 한 패거리야.” “우리 손주들은 이제 좋은 세상에서 못 산다.” 직접 들은 것 이외에 목격담도 많다. 문재인 정부에 대한 악담이 지역 노인들 사이에서 사납다. 그러면서도 그들은 태연자약하게 앉아 그저 저주만 늘어놓는다. ‘이 정부 역시 무너지리라.’ 자기가 지지하는 정권도 저주 때문에 무너졌다는 심보다. 그들도 ‘콘크리트 지지’의 철근을 이루던 시절이 있었다. 그때 그들은 자기와 다른 선택을 한 세력을 존중하지 않았다. 대통령을 ‘박근혜씨’라고 부른 정치인에게 광분할 만큼 승자의 여유, 주류의 도량은 없었다. 세월호 참사에서 대통령을 피해자로 치장했다. 구미에서 박정희 기념사업을 밀어붙이거나 그에 찬동하는 이도 그렇다. “김대중·노무현 기념사업은 아무 차질 없이 진행되는데 박정희 기념사업은 왜 이렇게 눈치를 봐야 하느냐”며 마치 무슨 잊혀진 좌익계열 독립운동가 기념사업이라도 하는 것처럼 떠벌려댄다. 그들은 대통령을 ‘대한민국 대표 유족’으로 설정했다. 이 피해망상은 좌익의 음모로 가득 찼다고 믿는 교과서를 향한 칼질로, 그리고 급기야 같은 집권당의 의원도 적처럼 공격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이제 그 콘크리트는 무너졌으나, 그들의 몰락으로 끝나지 않고 악순환할 조짐이 보인다. “고 노무현 대통령을 진보언론이 죽였다”는 세설이 또 판을 친다. 노 전 대통령 서거 직전까지 언론들이 매우 폭력적이었던 진실은 움직일 수 없다. 당시 한 정치인은 “이 죽음으로부터 자유로운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말했다. 그렇다. “아무도 없다.” 친노 논객은 “생계형 범죄” 운운하며 오히려 앞장서 고인을 궁지로 몰았다. 희생자조차 생전에 자결하는 노동자들을 두고 “죽음으로 항거하던 시대는 끝났다”고 일갈한 바 있다. 그야말로 모두의 책임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자성해서 그나마 나라가 여기까지 왔다. 그러나 반성하고 무릎 꿇으라고 소리만 질렀을 뿐 성찰하지 않은 이들이 있다. <한겨레>가 영부인을 ‘김정숙씨’로 부르는 것이 노 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괄시라고 우겨댄 이들의 활약으로, 기어이 지면의 영부인 호칭에서 ‘씨’가 발라졌다. ‘김윤옥 여사’, ‘김윤옥씨’, ‘권양숙 여사’, ‘권양숙씨’로 <한겨레> 기사를 검색해보면, <한겨레>는 그럭저럭 영부인 호칭을 ‘씨’로 표기한다는 원칙을 지켜왔으며 ‘여사’의 상당수는 인용인 경우다. 설령 어떤 매체가 매사에 김윤옥씨를 ‘여사’로, 김정숙씨를 ‘씨’로 불렀다 해도 욕먹을 일이 아니다. 김윤옥 여사는 구태의연하고, 김정숙씨는 신선하다는 방증이다(내 경우에도 의원 재직 시절 많은 주민들이 ‘김수민씨’라고 불렀고, 주민뿐 아니라 공무원 일부도 ‘수민 의원’이라고 칭했는데, 반갑게 받아들였다). 그들은 진보언론을 ‘구좌파’로, 자신을 신좌파라고 부른다는데, ‘여사’에 저리도 사활을 거는 신좌파는 세계사적으로 처음 본다. 저런 습성을 가진 이들이 풀뿌리 활동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는 건 우연이 아니다. 풀뿌리 활동은 남 탓하고 피해의식에 전 사람에게는 성과를 안겨주지 않는다. ‘실제로’, ‘손수’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 풀뿌리 활동가가 지녀야 할 덕목이다. 좋은 활동가들 대부분이 정치사회적 소수파에 해당하지만, 어차피 자신이 소수이기 때문에 세상을 헐뜯지 않고 소수들의 연합으로 다수 시민의 동의를 이루려고 노력하는 것이고, 그렇게 작은 성공의 경험들이 쌓인다. 여기에 자신은 언제나 옳았지만 이쪽저쪽이 방해해서 실패했다는 자기 연민과 망상이 움틀 자리가 별로 없다. 다수파는 그들을 본받기 바란다. 내게 다수파로 지목된 분들은 자신이 다수파가 아니라고 할지 모르겠지만, 그렇게 무책임한 태도가 바로 이명박에게 정권을 넘겨준 커다란 요인이었다는 것을 분명히 돌아보시라. 꾸며낸 피해자 서사와 소수파 시늉은 생각보다 그리 오래, 멀리 퍼지지 않는다. 내가 박근혜 지지자들에게 했던 말을 똑같이 재생한다. “다수파는 다수파답게 처신하라.”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