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단디뉴스> 전 대표 이맘때만 되면 ‘경남에 답 없다’는 소리를 듣곤 한다. 선거는 다가오는데 ‘보수 텃밭’으로 당최 변화나 혁신을 찾아볼 수 없다는 지적이었다. 여기에는 자치단체장들의 말본새가 한몫했다. 특히 다들 2012년부터 지난해 초까지 홍준표 경남도지사 시절, 경남지역을 뚜렷이 기억하고 있을 게다. 경남 진주는 더하다. 지금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이창희 진주시장’ 관련 영상이 화제다. 조회수가 치솟고 그 아래 비난 댓글이 달리고 있다. 수시로 근무시간 중 관용차를 타고 목욕탕을 드나들고, 목욕탕에서 나와 관용차를 타는 그의 사진이 보도된 지 꽤 됐다. 기자실에서 해당 기사를 썼던 기자에게 “새끼라고 하까? 나이도 어린 게…” 등 막말을 해대는 녹취록이 공개된 지도 1개월이 훌쩍 넘었다. 여전히 누리꾼들은 지방정부를 책임지고 있는 공직자가 설마 이 정도냐며 분노했고, 투표를 어떻게 해 이런 사람을 뽑았냐, 당장 쫓아내라며 되레 진주 시민을 몰아댔고, 단체장을 이 지경까지 가도록 견제하지 못한 시의회를 비난했다. 이창희 진주시장의 막말과 제왕적 태도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었다. 당장 기억나는 것만 해도 몇 가지 떠오른다. 2015년 진주 민간인학살 희생자 위령제 참석을 약속해놓고 당일 일방적으로 불참 통고하고, 장애인들이 체육시설을 짓자고 1개월여 시청 앞 집회를 하고 시장실 앞 복도에서 침묵시위를 할 때조차도 얼굴 한번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엘리베이터 전원을 끄고 청원경찰을 불러 계단을 봉쇄했다. 2015년 진주시의회 시정질의 중 질의한 의원에게 되레 한심하다, 비열하다며 몰아댔다. 시의회 의장이 “의원 인격을 존중해달라”고 주문하자 “인격은 무신”이라고 받아쳤다. 낡은 육교 철거 민원에 대해 “보기 싫다고 뜯어달라고 미친놈이. 전두환처럼 해야 돼”라고 말했다. 진주시장의 막말과 오만불손은 시의회에서, 기자실에서, 공식 행사에서 수시로 터졌고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정도다. 의회 본회의장에서는 시장석에 앉아 고개를 떨어뜨린 채 대놓고 자고 있기도 했다. 이창희 진주시장은 이번 6·13 지방선거에도 출마 선언을 했다. 3선 도전이다. 그는 “남은 마지막 신명을 바쳐 더 좋은 세상 진주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리고 연일 기자회견을 통해 정책 발표를 하고 있다. 하지만 그에겐 자유한국당 진주시장 후보 공천권만 보일 뿐 여전히 시민이 눈에 들어오지는 않는 듯하다. 그에게도 2010년 첫 출마 당시 ‘진주 발전 적임자’를 자처하면서 시민들에게 “희망을 가져다드립니다”라는 구호를 외쳤던 시절이 있긴 하다. 하지만 당선 직후 태도는 금세 달라졌다. 진주시장직 인수위원회 구성에 대해 묻는 기자에게 그는 “인수위는 대통령이나 하는 것이다. 기초자치단체 단위에서 무슨 인수위냐. 우리는 인수위라 하지 않고 ‘취임 준비위’로 구성할 것이다. 진주 시정에 대해 보고받는 수준으로 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취임’ ‘보고’ 등으로 그는 자신이 권력자임을 예고했었다. 그리고 8년, 그는 제왕적 시장이 됐다. 도리가 없었다. 지방자치 이후 중앙권력이 지방으로 점차 분산되고 있지만 오히려 지역 관료와 토호들의 권력만 강화할 뿐이라는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다. 지방의회가 있지만 단체장과 같은 정당의 의석이 압도적인 현실에서 견제는 역부족이다. 단체장에 대한 2차 견제 장치가 절실하다. 지방분권에는 지역 스스로의 개혁이 있어야 한다는 말에 크게 공감한다. 주민발안·주민투표·주민소환·주민소송제가 있다지만 이들 주민참여 방안은 현재까지는 선언적 의미에 머물러 있을 뿐 실효성이 적다. 지방정부 스스로 권력을 주민에게 좀 더 넘겨주는, 좀 더 나은 주민참여 방안은 없을까. 현재로는 지방정부에 주민참여 구조가 거의 없다.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권력 교체’라는 시민 목소리가 크다. 단순히 인물을 바꾸자는 게 아니다. 주민의 권한과 참여가 보장된 지역권력 구조를 새로이 재편하겠다는 시민 의지이기도 하다. 경남에도 답 있고 진주에도 답 있기를 바란다. 기 좀 펴고 살자.
칼럼 |
[지역이 중앙에게] 경남 진주도 기 좀 펴고 살자 / 권영란 |
진주 <단디뉴스> 전 대표 이맘때만 되면 ‘경남에 답 없다’는 소리를 듣곤 한다. 선거는 다가오는데 ‘보수 텃밭’으로 당최 변화나 혁신을 찾아볼 수 없다는 지적이었다. 여기에는 자치단체장들의 말본새가 한몫했다. 특히 다들 2012년부터 지난해 초까지 홍준표 경남도지사 시절, 경남지역을 뚜렷이 기억하고 있을 게다. 경남 진주는 더하다. 지금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이창희 진주시장’ 관련 영상이 화제다. 조회수가 치솟고 그 아래 비난 댓글이 달리고 있다. 수시로 근무시간 중 관용차를 타고 목욕탕을 드나들고, 목욕탕에서 나와 관용차를 타는 그의 사진이 보도된 지 꽤 됐다. 기자실에서 해당 기사를 썼던 기자에게 “새끼라고 하까? 나이도 어린 게…” 등 막말을 해대는 녹취록이 공개된 지도 1개월이 훌쩍 넘었다. 여전히 누리꾼들은 지방정부를 책임지고 있는 공직자가 설마 이 정도냐며 분노했고, 투표를 어떻게 해 이런 사람을 뽑았냐, 당장 쫓아내라며 되레 진주 시민을 몰아댔고, 단체장을 이 지경까지 가도록 견제하지 못한 시의회를 비난했다. 이창희 진주시장의 막말과 제왕적 태도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었다. 당장 기억나는 것만 해도 몇 가지 떠오른다. 2015년 진주 민간인학살 희생자 위령제 참석을 약속해놓고 당일 일방적으로 불참 통고하고, 장애인들이 체육시설을 짓자고 1개월여 시청 앞 집회를 하고 시장실 앞 복도에서 침묵시위를 할 때조차도 얼굴 한번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엘리베이터 전원을 끄고 청원경찰을 불러 계단을 봉쇄했다. 2015년 진주시의회 시정질의 중 질의한 의원에게 되레 한심하다, 비열하다며 몰아댔다. 시의회 의장이 “의원 인격을 존중해달라”고 주문하자 “인격은 무신”이라고 받아쳤다. 낡은 육교 철거 민원에 대해 “보기 싫다고 뜯어달라고 미친놈이. 전두환처럼 해야 돼”라고 말했다. 진주시장의 막말과 오만불손은 시의회에서, 기자실에서, 공식 행사에서 수시로 터졌고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정도다. 의회 본회의장에서는 시장석에 앉아 고개를 떨어뜨린 채 대놓고 자고 있기도 했다. 이창희 진주시장은 이번 6·13 지방선거에도 출마 선언을 했다. 3선 도전이다. 그는 “남은 마지막 신명을 바쳐 더 좋은 세상 진주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리고 연일 기자회견을 통해 정책 발표를 하고 있다. 하지만 그에겐 자유한국당 진주시장 후보 공천권만 보일 뿐 여전히 시민이 눈에 들어오지는 않는 듯하다. 그에게도 2010년 첫 출마 당시 ‘진주 발전 적임자’를 자처하면서 시민들에게 “희망을 가져다드립니다”라는 구호를 외쳤던 시절이 있긴 하다. 하지만 당선 직후 태도는 금세 달라졌다. 진주시장직 인수위원회 구성에 대해 묻는 기자에게 그는 “인수위는 대통령이나 하는 것이다. 기초자치단체 단위에서 무슨 인수위냐. 우리는 인수위라 하지 않고 ‘취임 준비위’로 구성할 것이다. 진주 시정에 대해 보고받는 수준으로 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취임’ ‘보고’ 등으로 그는 자신이 권력자임을 예고했었다. 그리고 8년, 그는 제왕적 시장이 됐다. 도리가 없었다. 지방자치 이후 중앙권력이 지방으로 점차 분산되고 있지만 오히려 지역 관료와 토호들의 권력만 강화할 뿐이라는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다. 지방의회가 있지만 단체장과 같은 정당의 의석이 압도적인 현실에서 견제는 역부족이다. 단체장에 대한 2차 견제 장치가 절실하다. 지방분권에는 지역 스스로의 개혁이 있어야 한다는 말에 크게 공감한다. 주민발안·주민투표·주민소환·주민소송제가 있다지만 이들 주민참여 방안은 현재까지는 선언적 의미에 머물러 있을 뿐 실효성이 적다. 지방정부 스스로 권력을 주민에게 좀 더 넘겨주는, 좀 더 나은 주민참여 방안은 없을까. 현재로는 지방정부에 주민참여 구조가 거의 없다.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권력 교체’라는 시민 목소리가 크다. 단순히 인물을 바꾸자는 게 아니다. 주민의 권한과 참여가 보장된 지역권력 구조를 새로이 재편하겠다는 시민 의지이기도 하다. 경남에도 답 있고 진주에도 답 있기를 바란다. 기 좀 펴고 살자.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