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TV] 세상의 한 조각 ‘원:피스’
쌍용차 국가폭력 2부 피해자와 가족들의 아물지 않은 상처
<한겨레TV> 세상의 한 조각 ‘원:피스’팀은 쌍용자동차 해고 노동자 김주중씨의 죽음을 계기로 국가폭력 피해자들의 삶을 추적했습니다. 국가폭력의 실태를 다룬 ‘1부: 쌍용차 ‘국가폭력’ 9년, 아무도 책임지지 않았다’에 이어 2부는 쌍용자동차 해고 노동자들과 그 가족들이 겪고 있는 정신적·육체적 고통과 치유 과정을 담았습니다.
공권력의 먹잇감이었던 사람들, 스스로 목숨을 내놓은 피해자들
“노동자들이 경찰 컨테이너에 실려 연행되는 과정에서 당한 폭력을 표현하자면 분풀이죠. 공권력이 그래서는 안되잖아요.”
김정욱 금속노조 쌍용자동차지부 사무국장은 9년 전 파업을 떠올리는 것이 여전히 끔찍하다고 했습니다. 경찰 특공대에 폭행당했던 동료 노동자의 이야기를 전하며 참았던 울음이 터졌습니다. “정말 처참했겠구나. 정말 사람이 가지고 있는 자존심까지 뭉게버릴 정도인데 보이지 않는 곳에서 그분들이 얼마나 두려웠을까? 공권력에게 저희는 나쁘게 표현하면 먹잇감이었던 거죠.”
지난달 27일 스스로 목숨을 끊은 쌍용자동차 해고 노동자 김주중씨. 쌍용차 정리해고 사태로 목숨을 잃은 서른번째 희생자입니다. 그는 2009년 8월5일 경찰 특공대에 폭행당한 노동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 쌍용차 조립공장 옥상 위에서 벌어진 폭력 진압은 국가 폭력의 실태를 보여준 상징적인 장면이 됐습니다. 김씨는 숨지기 한 달여 전 쌍용차 폭력 진압의 진상 규명을 위해 꾸려진 경찰청 인권침해사건진상조사위원회에 출석해 당시 상황을 증언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김씨는 그날의 끔찍했던 기억에서 끝내 빠져나오지 못했습니다. “저도 경찰만 보면 화가 나고 몸이 긴장하고 이런 증상이 나타나거든요. 김주중 조합원은 더했을 거예요. 경찰 특공대에 맞아 실신했던 사람이 맞고 있다가 정신이 드는 경우도 있었을 정도인 상황이었으니까.”
|
김정욱 금속노조 쌍용자동차지부 사무국장이 9년 전 파업 당시 경찰 진압 상황을 이야기하고 있다. ‘원:피스’ 화면 갈무리. 위준영 <한겨레TV> 피디
|
|
쌍용차 해고 노동자 김주중씨가 6월 19일 금속노조 쌍용차지부 사무실에서 2009년 8월 경찰의 진압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원:피스’ 화면 갈무리. 위준영 <한겨레TV> 피디
|
|
파업 참여 노동자의 아이들 이야기를 전하는 권지영 심리치유센터 ‘와락’ 대표. ‘원:피스’ 화면 갈무리. 위준영 <한겨레TV> 피디
|
|
쌍용자동차 해고 노동자들은 헬기 소리만 들어도 놀라고 두려움을 느꼈다고 한다. ‘원:피스’ 화면 갈무리. 위준영 <한겨레TV> 피디
|
|
박래군 인권재단 ‘사람’ 상임이사가 ‘원:피스’팀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원:피스’ 화면 갈무리. 위준영 <한겨레TV> 피디
|
|
‘원:피스’ 11회 2부 ‘그날의 상처, 누가 치유해야하나’. ‘원:피스’ 화면 갈무리. 위준영 <한겨레TV> 피디
|
댓글 많은 기사